playXP

서브 메뉴

Page. 1 / 93 [내 메뉴에 추가]
글쓰기
작성자 아이콘 Dot
작성일 2011-01-17 13:35:19 KST 조회 3,814
제목
GSL시즌3 4강 조나단과 장민철의경기,코드S16강경기비교

먼저 GSL 시즌3 4강에서 장민철 vs 조나단은 장민철이 4:0으로 압승을 했죠

그런데 얼마전 코드S에서의 조나단에게 2판 모두 지고 말았죠

그 차이를 알기 위해 제 나름대로의 분석을 해봤습니다

(이하 글은 100%아시고 계시다면 빨간부분,파란부분정도만 읽으시면 될 것 같습니다.)

 

먼저 GSL시즌3(이하 편의상 시즌3)의 1세트입니다

전쟁초원에서의 장민철 7시 / 조나단 1시였죠

두 선수 모두다 가까운 미네랄에 일꾼을 2기씩 착실하게 붙입니다

그리고 12관문-14융화소를 타는 장민철과 같이 12병영-14정제소를 건설하는 조나단입니다

이후 조나단은 9시멀티쪽 언덕 아래에 군수공장을 몰래 건설하여 화염차를 준비하죠

이때 장민철은 1가스 1관문 상태로 광전사 2기를 순서대로 찌르며 건설로봇4기,해병3기를 잡습니다

이후 추가되는 추적자와 함께 건설로봇 2,해병1,지게로봇1기를 잡아내며 유리한 상황으로 이끌어 갑니다

그때 조나단은 몰래지은 군수공장에서 화염차를 생산하여 프로토스의 탐사정을 잡아내고자 했으나

컨트롤을 하지 못해 추적자와 탐사정에 제압을 당한후 계속되는 추적자 찌르기에 gg를 치게 됩니다

 

2세트 입니다

젤나가 동굴에서의 장민철 1시 / 조나단 7시 입니다.

가까운 미네랄에 일꾼을 2기씩 붙이는 속도는 조나단이 조금 앞서나가는 모습으로

전 세트와 같은 12관문-14융화소 / 12병영-14정제소를 건설하게 됩니다.

장민철은 인공제어소를 올린후 2가스까지 채취하며 1광전사, 2파수기를 생산합니다.

조나단은 2병영을 건설하며 첫번째 병영에 기술실을 붙이고 충격탄 연구를 하면서 2번째 병영에는 반응로를 달며

1불곰 2해병으로 진출을 하며 사령부를 건설하지만 장민철이 이를 좋은 타이밍에 탐사정을 넣어 서치를 합니다.

그 후 장민철은 3관문까지 늘리면서 6파수기,1광전사 상태로 멀티를 합니다.

이후 조나단은 4병영까지 늘어나면서 반응로 둘, 기술실 둘이 부착이 됩니다.

잠시후 장민철은 이른 타이밍에 뽑아놓은 마나가 많은 파수기와 추적자를 조합하여 3광전사 6파수기 8추적자로 찌르기를 들어갑니다.

이때 조나단은 6불곰, 2해병과 2벙커 안에 있는 8해병으로 수비를 하여 했으나 수리를 붙지 못하게하는

장민철 선수의 좋은 역장으로 앞마당이 뚫린후 조나단은gg를 선언합니다.

 

3세트 입니다

샤쿠러스 고원에서의 장민철은 11시 / 조나단은 5시입니다.

같은 빌드 12관문-14융화소 / 12병영 14정제소를 건설합니다.

장민철은 인공제어소 이후에 2가스를 확보하여 1광전사, 1파수기를 생산한 후 우주관문을 건설합니다.

이때 조나단은 병영에서 1해병을 생산후 불곰을 생산하여 센터쪽으로 나가면서 사신을 생산합니다.

하지만 이 사신은 우주관문을 보지 못하고 탐사정도 하나도 잡지 못한채 죽습니다.

사신이 잡힌후 3관문까지 늘려준 장민철은 공허포격기와 관문유닛을 모아줍니다.

이상한 낌새를 알게된 조나단은 앞마당에 2벙커와 미사일 포탑을 건설합니다

잠시후 장민철은 공허포격기 2기로 본진을 견제하여 지상병력을 유도후 역장으로 입구를 막은후  

관문유닛과 공허포격기가 앞마당으로 들이닥쳐 조나단에게 gg를 받아냅니다



4세트 입니다

밀림분지에서의 장민철 11시 / 조나단 5시입니다.

마찬가지로 12관문-14융화소 / 12병영-14정제소를 건설하며 장민철은 인공제어소 이후 2가스를 채취합니다.

조나단은 2병영까지 늘려주며 각각 반응로, 기술실을 부착함과 동시에 장민철 선수의 입구 오른쪽에 군수공장을 건설하여 토르를 준비합니다.

하지만 장민철선수는 숨겨져있던 탐사정으로 2가스가 건설된것을 확인합니다.

장민철 선수가 준비해온 빌드는 암흑기사 입니다.

이 암흑기사 2기가 테란의 본진을 쑥대밭으로 만들고 궤도사령부를 띄우게 만듭니다.

이에 따라 조나단은 은폐를 감지할 방법이 없자 장민철 선수의 본진에 공학 연구소를 건설하고

미사일 포탑을 건설합니다.

하지만 궤도사령부가 날아가는 중간에 파수기와 추적자에게 파괴가 되어 조나단은 더 이상 사령부를 지을돈이 없지만 장민철은 광물600이 남아있었기 때문에  연결체를 짓고 이를 확인한 조나단은 gg를 치고 장민철은 세트스코어 4:0으로 결승에 진출합니다.

 

여기까지가 시즌3의 장민철 vs 조나단 이였습니다.

그럼 코드 S의 두 경기를 볼차례입니다

 

첫번째 경기

잃어버린 사원에서의 장민철 6시 / 조나단 2시입니다.

두 선수 모두 12관문/병영 - 14융화소/정제소를 건설합니다.

조나단은 이후 테크를 위해 빠르게 2번째 가스를 올리지만 이를 장민철 선수가 확인하고 우주관문을 건설하여

1.2패치 이후 생산시간이 단축된 불사조를 생산합니다.

조나단은 군수공장 이후 우주 공항을 건설하며 다른 전략을 준비해 왔으나 불사조때문에 빌드가 꼬이게 되죠.

불사조를 방어하기위해 바이킹을 생산하던 조나단은 본진에 사령부를 올립니다.

장민철 선수는 이보다 조금 빠른 타이밍에 불멸자 생산을 하며 앞마당 연결체를 가져갑니다.

그후 3관문까지 늘린 장민철선수는 2불멸자 10광전사 6파수기로 테란 앞마당을 찌르지만

공성모드 공성전차 4, 벙커안 해병4, 해병8, 밤까마귀 1기로 수리를 동반하여 찌르기를 잘 수비해 냅니다

장민철은 이 과정에서 불멸자 2기와 불사조가 전멸하게 되어 큰 손해를 입게 되죠.

장민철은 메카닉체제인 테란에게 대응하기 위해 불멸자를 꾸준히 생산하며 2로봇공학시설을 올린후 로봇공학 지원소를 건설합니다.

조나단은 군수공장을 늘리면서 5시 섬멀티를 가져감과 동시에 장민철 선수의 앞마당에 지옥불 조기점화 연구가된 화염차 3기를 내리며 약 15기의 탐사정을 잡아냅니다. 이후 젤나가 감시탑 쪽부터 조이기 라인을 형성하지만

장민철  선수가 다수의 불멸자와 뚫어내고 이기는듯 했으나 뒤에 배치되어있던 공성전차에 의해 한번 접기로 합니다.

장민철 선수는 8시쪽의 멀티를 하고 시간을 벌기위해 거신을 태워서 견제를 하려고 했으나 손해를 보게되고

조나단은 8시쪽에 화염차 3기를 보내 탐사정을 잡아줍니다 

그 사이에 조나단은 풍부한 광물 지대를 확보한후 거점을 그곳으로 잡아 조이기를 형성하여 장민철선수가

뚫고나오지 못하여 gg를 선언합니다.

 

2번째 경기입니다

고철처리장에서의 정민철 12시 / 조나단 2시이죠

계속 초반 빌드는 같습니다 12관문/병영-14융화소/정제소

그 후 장민철 선수는 4차원 관문 러시를 준비하여 뚫으려고 했으나 이를 화염차로 정찰한 조나단은 미리 건설로봇이 나와서 벙커를 수리하며 옆으로 지나가는 추적자를 건설로봇과 해병이 같이 쉽게 방어를 해냅니다.

그 후 은폐연구를 해주며 추적자 1기, 탐사정 4기의 피해를 입힌 조나단은 밤까마귀를 생산하여 자동포탑으로 견제를 해주려던 조나단은 불사조를 확인하고 빠지다가 밤까마귀가 잡히게됩니다.

그 후 조나단은 군수공장을 4개까지 건설하며 메카닉 체제를 선택합니다.

이 때 장민철 선수는 함대 신호소를 올리고 우주모함을 생산하게 됩니다.

하지만 조기에 조나단이 은폐밴시로 정찰이 되어 우주공항에서 반응로를 붙이고 바이킹과 군수공장에서는 토르를 생산합니다.

장민철은 추가 멀티를 풍부한 광물 지대에 가져가며 자원적 우위를 점하려고하나 테란이 5토르, 11바이킹, 3공성전차, 해병다수와 진출하게 됩니다.

한타교전에서의 불사조는 토르에게 순식간에 잡히게 되고 무방비상태인 우주모함은 바이킹에게 모두 전멸을 당합니다.

시간을 벌려는 장민철 선수는 빈집을 공격가지만 토르가 회군하여 막아내게 됩니다.

장민철 선수는 생산설비가 모두 끊겨 풍부한 광물 지대에 로봇공학시설과 관문을 건설하였으나 토르에게 밀려 gg를 칩니다.

 

여기까지 시즌3와 코드S의 경기를 요약했습니다.

이 두 경기에서 볼 수 있는 모든 공통점은 찌르기입니다.

초반 2광전사, 추적자로 찌르기,앞마당후 추적자,파수기로 찌르기, 3차관 공허로 찌르기, 암흑기사로 찌르기

모두 초반에 찌르는 장민철 선수의 특징을 볼 수 있습니다.

이중 암흑기사와 공허포격기는 전략이 노출되지 않았기때문에 유효한 공격이 되었죠.

그런데 코드S에서는 조나단이 장민철 선수의 찌르기를 수월하게 막아냈습니다.

4차관 러시는 화염차로 인한 서치를 했기때문에 미리 건설로봇이 나와서 막을 수 있었던것이고요.

장민철 선수의 테란전을 보면 대부분 찌르기에 무너지거나 심각한 피해를 입고 패배하게 되는데

이번 코드S의 조나단은 그렇지 않았고 장민철의 찌르기는 약했습니다.

먼저 장민철 선수의 찌르기가 약할 수 밖에 없었던 이유를 봅시다.

1경기때 먼저 불사조테크를 타고 관문유닛다수와 불멸자 소수 그리고 불사조가 찌르기를 들어갔습니다.

이때 공성전차를 불사조가 다 들지 못하는 일이 발생했고 벙커에 역장이 쳐지지 못해 벙커를 부수지 못하고

불사조의 카운터인 바이킹을 생산하여 빠르게 대처하는 조나단의 수비가 좋았죠

이때 가장 중요한것은 우주관문에 돈을 투자한 만큼 동시간대의 관문유닛은 줄어들고 요구치에 도달하는 시간이 길어집니다. 따라서 장민철 선수의 찌르기가 유효하지 못했던것입니다.

두번째 경기 에서는 4차관 러시를 직접보고 막기위해 미리 건설로봇이 나와서 수리를 준비한다는 것은 벙커가 제 역할 이상을 할 수 있게 됩니다.

장민철선수는 벙커를 부수기는 무리라는 판단하에 본진안으로 들어갔으나 심시티로인해 수월하게 들어가지 못하고 건설로봇과 해병에 정리당한것 입니다.

이로서 장민철 선수의 테란전 비법은 테란의 공백기에 전략노출이 없이 찌른다는것입니다.

그 타이밍은 생산설비가 늘어날때/반응로,기술실이 부착될때/멀티를 준비할때/테크를 빠르게 탈때 입니다.
이후 운영도 보겠습니다.

1경기 장민철 선수의 주력 조합은 거신 불멸자였습니다.

하지만 스타2 컨트롤 특징상 유닛이 뭉치는 것 때문에 공성전차의 스플래쉬가 더욱 효과적이라는것

만약 바이오닉이 저 조합을 상대한다면 거신을 쉽게 때리지 못하지만 긴 사정거리로 우위를 점하고 싸우는것

가장 중요한 이전의 견제가 되겠습니다.

2경기는 불사조 우주모함 그리고 지상병력 소수였습니다.

하지만 경장갑 비행유닛에 강력한 토르와 우주모함/불사조를 잘 잡을 수 있는 바이킹 다수..

프로토스의 조합에 완전 우위에있는 유닛만 모아놓은 조합이죠.

이것들이 장민철 선수의 패인이 될 수 있겠습니다

이점을 토대로 하여 프로토스 유저들은 메카닉 해법을 찾아나가는 동시에 불사조운영을 잘 해낼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하겠습니다.

(수정)하지만 가장 중요한 부분을 들자면 장민철 선수는 두경기 모두 불사조 체제를 선택함으로서

장민철 선수의 찌르기에 필요한 관문 유닛이 부족함과 동시에 진출을 막지못함으로서 가장큰 패인이 되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마지막으로 이 글에서 팁을 집어내서 드립니다

1.테란전의 불사조는 관문 유닛의 공백기를 가져온다

2.초반 찌르기로 테란을 공략한다면 뚫거나 큰 피해를 주면 유리한 게임을 할 수 있다.

3.메카닉 조합에는 거신 불사조 불멸자만으로는 부족하다

4.관문유닛은 테란의 병영 유닛과 양이 비슷할시 비등하게 혹은 우위에서 싸우는것이 가능하다

5.(가장 중요)우주모합을 뽑지 않는다

 

 

지속적인 허위 신고시 신고자가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신고 사유를 입력하십시오:

발도장 찍기
아이콘 Dot (2011-01-17 13:36:03 KST)
0↑ ↓0
센스 이미지
써놓고 보니깐 다큐가 엄청 기네
검은손톱 (2011-01-17 14:32:36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아이콘 ApatheiaApo (2011-01-17 14:34:59 KST)
0↑ ↓0
센스 이미지
결론적으로 우주모함은 쓰레기 ㅠㅠ
아이콘 Dot (2011-01-17 14:49:32 KST)
0↑ ↓0
센스 이미지
ㄴ 슬픈 현실.............
아이콘 나의미래 (2011-01-17 14:57:40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첫경기는 불사조로 분위기 좋게갔지만 첫번째 찌르기가 너무 허무하게 막히고 결정적으로 화염차 견제를 당하면서 거의 승부는 기울었다고 봤음 뭐 전체적으론 맵과 자리도 한몫함 두번째는 4차관을 실패했고 그래서 상대방보다 태크가 느렸지만 탐사정수도 훨씬많았고 충분히 그때까진 해볼만한 상황이었음 장민철이 우주모함 뽑는 대 무리수를 두며 지상병력구성을 허술하게 한게 이유라고 봄 우주모함도 진작에 들켜서 겨우 4기 나왔는데 바이킹이 20기 가량이 되니 상대가 안되고 불사조는 토르에 녹고.. 장민철이 메카닉위주로 하는 테란을 많이 못만나봐서 대응을 잘못한게 패인이라고 봅니다 전술적이나 세부적인 상황에선 나쁘지않은 운영과 센스를 보여줬지만..
아이콘 AriossiMo (2011-01-17 16:25:52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마지막 팁이 와닿네요..추천 누르고 갑니다.
nu9ri (2011-01-17 18:59:36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고철처리장 경기는 토르의 위엄이죠...토르모이면 답이없음...

불멸자는 모일수록 토르에게 사정거리+250mm때문에 안되죠...

우주모함이 토르한테 좋긴한데.. 공업도해야되고 생산시간이 너무 길죠...

왜 테란의 유닛을 막으려면 저그나 토스는 한단계 높은 테크의 유닛을 갖춰야 하는지...
아이콘 Telode (2011-01-17 20:32:15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불사조가 상향된건 좋은데 아무래도 스펙이 좀 계륵임...
아이콘 메이셔 (2011-01-17 22:53:19 KST)
0↑ ↓0
센스 이미지
토르랑 우주모함 같은 테크 아님??
아이콘 귀챦이스트 (2011-01-19 13:58:05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두번째 경기도 4차관 막힌게 큰 타격은 아닙니다
scv를 많이잡아서 탐사정숫자가 scv보다 훨씬 많았으니까요
하지만 프로토스가 우주모함을 뽑게되는데..
댓글을 등록하려면 로그인 하셔야 합니다. 로그인 하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롤토체스 TFT - 롤체지지 LoLCHESS.GG
소환사의 협곡부터 칼바람, 우르프까지 - 포로지지 PORO.GG
배그 전적검색은 닥지지(DAK.GG)에서 가능합니다
  • (주)플레이엑스피
  • 대표: 윤석재
  • 사업자등록번호: 406-86-00726

© PlayXP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