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yXP

서브 메뉴

Page. 14 / 39 [내 메뉴에 추가]
글쓰기
작성자 아이콘 NyxArena
작성일 2012-08-07 10:45:55 KST 조회 4,228
제목
조나단 월시 (Liquid'Jinro) 은퇴

조나단 월시가 해외 커뮤니티인 팀리퀴드 사이트를 통해 은퇴의사를 밝혔습니다.

오픈시즌부터 꾸준히 한국무대에 도전했던 GSL 외국인 선수였고, 많은 팬분들이 좋아하셨던 선수인만큼 아쉬움이 남을 수 밖에 없을 것 같습니다.


해당 내용 링크입니다 : http://www.teamliquid.net/forum/viewmessage.php?topic_id=358724

이하는 원문입니다.


To some of you, this comes as a surprise. To some of you, it does not. The latter group will say: "Just look at his results, of course he's retiring." The latter group is right to not be surprised, but they are wrong about why.

When I was thirteen, I had a dream of going to Korea, of playing Starcraft on TV. I worked hard to make it a reality, and by the time I was seventeen, I was a member of Dream.T, one of the best Korean clans on battle.net. Getting there was a little bit like reaching the top of a mountain, looking out, only to realize that this was but a rocky protrusion, the actual mountain still looming ahead; Korea was a long way away.

Shortly before my eighteenth birthday, I was introduced to poker. During this time, I had already been on a month break from Starcraft to play Go when an old BW friend of mine (old school SC guys might know him as GroT, poker players as Jelle) posted in a thread on TL asking to learn the basics of Go. We hadn't talked in a while, but I offered to teach him the very basics of Go, and in return he would show me poker.

Here was a game where my every increase in skill met was met with a clear indicator of progress, where (unlike SC in the west), there were more stages to your development than "not in Korea playing on TV" and "in Korea playing on TV." For those of you who weren't around in 2006, if you were playing SC seriously but not in Korea, you did not get much out of it. There were no big sponsorships, no MLGs. There was WCG once a year (and not even that if you lived in certain countries like Sweden), a relatively small DreamHack, and not much else. So, I gave up on my dream and chased a new one, never expecting to return.



When SC2 was announced, something stirred inside of me and old dreams resurfaced. Poker is a hard game, and by nature, I tend to obsess over my interests, which can often lead to some balance issues in life. At this point, I was playing mid-high stakes, and as a nineteen-year-old not used to dealing with being up or down thousands of dollars on a daily basis, I found it all very stressful. Playing SC2 and chasing an old dream was very tempting.

When the opportunity to go to Korea came along, I took it, though not completely without hesitation. Even at this point, I think a part of me knew... But it was a once in a lifetime opportunity, it was exactly what I had dreamt of doing.

I think I have told the story of how, shortly before winning MLG Dallas 2010, I told Victor he should not bother sending me, that I was not good enough. What I don't think anyone got from this was that I was already at that point questioning whether I should be playing. Of course, most people know what happened after that. I went back to Korea, qualified for GSL, and poured all that I had into it.

In an interview during GSL, InCa was asked about me, about how much I practiced. He replied, "At least fifty games a day." Later on, I asked him why he had said that, feeling like the number was overstated. He was perplexed: "You ask for games from the moment you wake up until everyone else is asleep. You play at least fifty games a day."
My efforts carried me to round of four, and when I eventually fell to MC, I was both proud and dejected.

The next GSL came around, and once again, I practiced hard. Not as hard as before, but harder than most. By the time the semis came around, I was pretty much spent. The minute after my fourth game versus MarineKing, I swallowed and realized my throat hurt like hell. The next day, I was sick with a fever. Despite this, life was easy: I had made the semis twice in a row, and by the time I advanced 2-0 through my GSL group for the third time straight, I felt like I was walking on water. Things were just a little bit too easy.

When I was fourteen, I had a dream. An actual dream. I was playing NaDa PvT on Lost Temple on the WGTour I think, back when all the Korean pros suddenly decided to play on it. He was at six, and I remember flanking his famous tornado push with a seemingly endless wave of zealots. I woke up happy until I realized it had just been a dream.

Eight years later, there I was, practicing with this guy I'd once dreamed of beating. Practicing, winning games, losing games. Once before one of his GSL matches, NaDa called me just to ask for advice on what maps to remove against his zerg opponent. "How cool is that?" the thirteen-year-old inside me said. "What now?" I hear the twenty-something reply.

Over a year ago, around May 2011, when I dropped out of Code S, I told Victor I was thinking of retiring. I don't remember how long I considered it for, but the thoughts were real and not easily dismissed. In the end, I decided to attend DreamHack and HomeStory, and despite not having the best of results, it was a break in the monotony and, coupled with a good contract offer, I signed on for another year.

The new contract, along with having had a lot of fun at the events I attended during the summer (HSC and MLG above all), brought some new motivation, and I could feel myself improving again.

This lasted a few months, at the high point of which I found myself within one game of qualifying for Code A again. I was in the finals of the qualifiers vs. IMMinSeok. The last map was Daybreak. NesTea was watching behind him.

Later on, I was told that halfway through the game, NesTea had sadly exclaimed that the game was over, that MinSeok could not come back. Unfortunately for me, MinSeok fought back through some inspired play, and my control failed me in two crucial battles.

At the time, I did not feel too dejected by this; it felt like proof that I was actually improving again. Yet looking back, I see that was the last time the advancement of my skill level was ahead of the pace of the general population.

The winter was not good for me. I was unhappy with my game, my life, with SC2 -- and I think it was very clear to anyone who watched my stream, or just my games. Something was wrong. Tilting was common, and honestly I behaved pretty poorly.


More and more I found myself practicing just so that I could be sent to events, to meet the friends I could so rarely meet. I'd had a dream...and I had given it up. What I had left was a child's dream half-remembered, and in the back of my mind, I'd always been aware of how tenuous my drive was. For motivation, I was almost completely reliant on external events to drive me: going to Korea, winning MLG, qualifying for GSL, going far... Even during the beta, I had to force myself to play. I was running on the fumes of a dream that was no longer mine.

InControl once said that if you find yourself needing a reason to play other than the enjoyment of the game, then it is time you stop playing. I don't always agree with this -- there are many people for whom it's not true. I remember a NaDa interview from SC1, during which he talked about how he no longer enjoyed the game, and yet, you'd still see him post good results just a few months later.

But for me, it was true. I was running on empty, and while I was making pretty good money, I was no NaDa. The day after MLG Columbus 2012, I arrived in Vegas... and I realized I was done. IPL4 would be my last hurrah. I knew it was not a decision to be made lightly or at once, but I brought up the possibility with Victor. I would say that IPL was the last time I played anywhere near good, and I made it unexpectedly far (yet not far enough to be worthy of note).

I've often wondered about the drive of the guys who switched from one game to another, such as BoxeR, NaDa, Julyzerg, Moon, Grubby, ForGG (but also lesser known examples such as Junwi, Dayfly, Garimto, Insomnia, Draco). Where do you find it within yourself to dream again? NaDa was one of the most talented players to ever touch SC1, and one of the hardest workers. In SC2, I believe he subsisted almost entirely on a diet of talent and past hard work. He would have periods of inspiration, of rigorous practice, but I don't think he ever had the same drive that he had for SC1 (for which, every SC2 player in the world should count themselves lucky).

I am no NaDa, no BoxeR, no Julyzerg, Moon or Grubby. But I did work hard on my dream for many years. Exhausted a large amount of its reserve, without much to show for it (for SC1, at least. For SC2 I would not say I am content, but I would also hesitate to call it 'nothing').

I just wonder if it is possible to approach a game ever again, especially one so similar, with the same childlike enthusiasm and passion.



All of the above I'm sure sounds very dark, and I want to take a moment to make it very clear that I do not regret my choice to become a progamer for a second. There are moments within that career that I do regret, things I could have done much better, but what I will never regret is having embarked on this journey.

When I was a kid, my dream was to be a progamer. I didn't want to be a football player, I didn't want to be an astronaut or what have you Sure, when people asked (before I knew what progaming was), I would say I wanted to be a sea-rescue helicopter pilot (on account of some documentary I had seen), or a long distance runner because of how awesome I thought Moses Kiptanoi was. But my first true feeling of "this is what I want to do," was Starcraft. In Korea. And I got to do it!

The people I've met -- friends, acquaintances, fans -- and the life experience I've acquired in the meantime have helped me grow tremendously and I firmly believe I leave progaming a much better person than I was when I entered it.

Many people will no doubt wonder where I am going, and what I am going to do. The answer is: nowhere, and poker. We got the apartment well after my decision to quit was mostly decided, and I am tremendously excited at the prospect of re-learning poker and practicing BJJ.

You might ask yourself why I would return to something that I already left, how it's going to be different. Well, truthfully I do not know that it will be, but I do know I've done a lot of growing up in the past two years, and that I appreciate the freedom poker brings, to an extent that I could not at the time. I believe it is the best choice for me now, and in the long term, who knows.



To everyone who ever supported me, thank you, truly. I am not really a spotlight guy, but every moment that I was in it, you made me feel like home. I often wonder how it is that I still have people telling me they believe in me, or that they hope I can make it into Code A again next season, or what tournament they will see me in next... For a while now, it's pained me to not be able to answer those questions/well wishes honestly, and so this post is, in a way, a big relief.



In particular, I would like to thank the following people:

My parents for supporting my ambitions at all times, be it Starcraft or Poker.

Victor for his support throughout these years, his invaluable insights during my first GSL run (he seriously watched and analyzed every practice game I played), and for being a good friend.

Gon and TheWind, my two coaches in oGs, for always taking care of us, and for putting up with my horrible temper.

To all my teammates, past and present, in both Teamliquid and oGs. If I wasn't still living in Korea, this goodbye would be a lot sadder 

To everyone on the TL staff for making life when traveling a lot easier than it has any right to be, and taking care of all the things your average gamer is too uncaring to take care of.

To my friends, I hope I will have the opportunity to meet the ones of you I only got to see at events, even as a 'civilian.'


It's been emotional (cookie for anyone who catches the reference).

- Jonathan



From Liquid`Nazgul...

For some time I was contemplating on what I was going to write here. Jinro retiring is something that naturally seems like a sad thing, but I came to realize this was not the case for me. To me, retirement isn't something that's intrinsically good or bad. At times, it can be the start of something better. 

As an avid sports fan, it has always pained me to see old greats continue for too long after their prime has passed. Though you can sense that there's a variety of reasons behind it, the end result usually isn't very glamorous.

I am really proud that Jinro was able to make this decision, even happy for him. During the past year, Jinro hasn't been able to find what he was looking for. By winning MLG Dallas and reaching back to back GSL semi-finals, he set a high standard for himself to be the best non-Korean in the world. After playing at that level once, it was tough for Jinro when the results just stopped coming, even though he was putting in the same kind of hours that allowed him to reach his peak. Everyone in our team, and even some of Jonathan's fans could feel that he wasn't happy playing the game anymore. 

There is something beautiful about Jonathan retiring on Liquid. We have been in this together for so long that when it had to end, there was no more fitting way than for him retire than as a part of this team. He is stepping down as a member of the professional squad, but will remain on Liquid as a retired member like others before him.

By retiring Jonathan is moving on to a new phase in his life. He got everything he could out of pro-gaming, and in return he gave pro-gaming everything he had, leaving an amazing legacy behind. Starting with nothing but a dream, he succeeded at the highest level in the world and became the best among his peers. He played with style, practiced with passion, and was, and will always be, a true friend.

- Victor





지속적인 허위 신고시 신고자가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신고 사유를 입력하십시오:

발도장 찍기
  |   아이콘 niKa_Desperado
아이콘 푹찍찍 (2012-08-07 10:51:53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ㅠㅠ..
아이콘 NosMoRi (2012-08-07 10:56:56 KST)
0↑ ↓0
센스 이미지
ㅠㅠㅠㅠ 으엉... 몇안되는 좋아하는 외국인 선수였는데
아이콘 민정쨔응 (2012-08-07 11:49:23 KST)
0↑ ↓0
센스 이미지
ㅜㅜ진로찡 ㅠㅠㅠ
아이콘 포메라니안 (2012-08-07 12:04:43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이런거하실때 번역도좀;; ㅠㅠ 소식은 스투게에 빨리올라왓으니..ㅋ
하늘에서-맹독이 (2012-08-07 12:56:05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ㅠㅠㅠㅠㅠㅠㅠㅠㅠ
아이콘 루디 (2012-08-07 13:04:57 KST)
0↑ ↓0
센스 이미지
한때 GSL 4강까지 갔었는데 아쉽네
아이콘 벼루_ (2012-08-07 13:16:25 KST)
0↑ ↓0
센스 이미지
ㅠㅠㅠ진로찡 ㅠㅠ
Real정훈쨔응 (2012-08-07 13:27:34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액체->팀리퀴드
아이콘 MythZerO (2012-08-07 13:44:25 KST)
0↑ ↓0
센스 이미지
번역기 ㄷㄷ
TRS (2012-08-07 13:56:52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진로 ㅠㅠ
무슨일을 하든 잘되길 빌게요 ㅠㅠ
아이콘 수에리스 (2012-08-07 15:04:57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어색한 부분은 의역했지만 그래도 어색한 부분은 어색하고 오역이 있을수도 있지만 어지간 하면 아주 틀리지는 않을겁니다. 빅터꺼는 안했음 넘 길어.. 전 번역가가 아니니까염.


-------------------------------------------------

이 소식을 듣는 여러분들중 몇몇은 놀라리라 생각합니다. 그리고 어떤 사람들에게는 그리 놀라운 소식이 아니겠죠. 후자의 사람들은 "걔 요즘 성적을 봐. 당연히 은퇴하겠지" 라고 말할겁니다. 그 사람들이 그렇게 말하는 것도 이해는 하지만, 그 이유는 좀 다릅니다.

제가 열 세살때, 전 한국에 가서, TV에서 스타크래프트를 플레이하는 꿈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전 그 꿈을 이루기 위해 열심히 노력했고, 열 일곱살때 배틀넷 최고의 한국 클랜중 하나인 Dream.T에 가입할 수 있었습니다. 꿈을 이루는 길은 산 정상에 오르는 것과 비슷했지만, 길을 오르고 또 올라도 그 앞에서는 또 다른 울퉁불퉁한 길이 이어져있었고, 실제로 올라야 할 산은 아직도 멀어보였죠; 한국(에서 성공하는 길)은 멀고도 험했습니다.

열 여덟살 생일이 되기 얼마 전, 전 포커 플레이어와 알게되었습니다. 그때 당시 전 스타크래프트를 쉬고 바둑을 두고 있었고 제 옛 스타1 친구들(주:GroT이나 Jelle라는데 아이디만 보고 이름은 잘 모르겠군요)이 팀리퀴드에 바둑을 가르쳐 줄 사람을 찾는다는 스레드를 세운 것을 봤습니다. 우린 한동안 만나지 않았었지만, 전 그들에게 바둑을 가르쳐주기로 했고 대신 그들은 저에게 포커를 가르쳐줬어요.

포커는 제 모든 스킬들이 제 실력향상의 명확한 지표가 되어주는 게임이었고, 거기에는 단순히 "한국TV에서 플레이를 하지 못하는 것" 과 "한국TV에서 플레이하는 것" 이상의 여러 발전 단계들이 있었습니다. 2006년에 스타크래프트를 진지하게 하고있었지만 한국에서 플레이하고 있지는 않았던 사람들은 그렇게 많이 발전할 수 없었죠. 큰 스폰서도 없었고, MLG도 없었고, WCG는 일년에 한번(그나마 스웨덴은 참가하지도 않았던), 비교적 작았던 드림핵정도가 있었을 뿐이었습니다. 그래서 전 꿈을 포기하고 새 꿈을 쫓아갔고, 다시 돌아오리라고는 생각하지 않았습니다.


스타크래프트2가 발표되었을 때, 제 안의 뭔가가 휘저어진 느낌이었고 제 오랜 꿈이 다시 떠올랐습니다. 포커는 힘든 게임이었고, 전 제 천성상 제 관심사에 지나치게 집착하는 경향이 있었던 지라, 종종 삶의 균형이 무너지는 때가 있었습니다. 그 때 당시 저는 중상위 수준(주 : mid-high stakes, 포커를 몰라서 정확한 용어는 모르겠지만 돈을 거는 규모의 수준을 이야기하는 듯 합니다)에서 플레이하고 있었고 19살짜리에게 매일이어지는 몇천달러 규모의 승부는 굉장한 스트레스였습니다. 스타크래프트2를 플레이하면서 옛 꿈을 쫓는 일은 아주 매력적으로 보였죠.

한국에 갈 기회가 마침내 왔을때, 전 그 기회를 잡기는 했지만 마음속에는 망설임이 없지는 않았습니다. 그 때 당시에 제 안 어딘가에서는 깨닫고 있었지만.. 하지만 그건 인생에 한번뿐인 기회였고, 정말로 제가 하고 싶었던 일이었습니다.

2010 MLG 달라스를 우승하기 전에, 전 빅터에게 제가 실력이 아직 모자라니 한국에 굳이 보내줄 필요는 없다고 말했다는 이야기는 벌써 한 적이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이 모르는 사실은 제가 이 때 이미 스타크래프트2를 계속 할지 말지 고민하고 있었다는 것이죠. 대부분의 사람들이 알고 있듯, 전 그 후 결국 한국에 갔고, GSL에 출장했고, 제가 가진 모든 것을 쏟아부었습니다.

GSL 인터뷰중에 송준혁선수가 제가 얼마나 연습을 하는지에 대한 질문을 받았을 적이 있었습니다. 그는 "최소한 하루 50게임은 해요"라고 대답했죠. 전 그 숫자가 과장되었다고 느껴서 나중에 그에게 왜 그렇게 대답했는지 물어봤습니다. 그는 "넌 아침에 눈을 뜨면서 부터 게임 해달라고 졸라서 밤에 모든 사람들이 잠들때까지 연습하잖아. 너 하루에 최소한 50게임은 해."하고 말했습니다. 제 노력은 장민철선수에게 패배했던, 제가 자랑스러워했고 동시에 절망했던, 4강까지 절 이끌어줬습니다.

다음 GSL시즌에 전 다시 열심히 연습했습니다. 그전처럼은 아니었지만 그래도 보통보다는 많이 연습했죠. 준결승이 진행되고 있을때 전 굉장히 지쳐있었습니다. 이정훈 선수와의 4경기 직후, 전 침을 삼키면서 제 목이 엄청나게 아프다는걸 깨달았어요. 다음날 전 열이나고 아팠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든 것이 그렇게 어렵지는 않았어요. 전 4강에 연속으로 두번 들었고, 이미 그 다음 GSL시즌 예선을 2-0으로 통과한 상황이었기 때문에 마치 물 위를 걷는 기분이었습니다. 모든게 좀 너무 쉽다고 생각했어요.

제가 14살때 꿈을 꾼 적이 있었습니다. 꿈에서 전 제 기억에 WGTour에 로스트템플에서 이윤열선수와 PvT를 하고 있었고, 갑자기 모든 한국의 프로게이머들이 그 게임에 참가하기 시작했습니다(?). 이윤열 선수는 6시에 있었고 전 그의 유명한 폭풍같은 러쉬를 끝없는 질럿 웨이브로 막아내고 있었어요. 전 행복한 기분에 눈을 떴지만 아 시밤 쿰..

8년후 전 제가 꿈에서 한번 이겼던 상대와 플레이하고 있었습니다. 연습도 하고, 이기기도, 지기도 했죠. 한번은 그가 GSL경기 전에 저에게 전화해서 저그전에서 무슨 맵을 빼야할지 물어보기도 했어요. "쩌는데?" 하고 13살짜리 제가 말했습니다. "이제 뭘 하지?" 스물 몇살의 제가 대답했죠.

1년정도 전, 2011년 5월, 제가 코드S에서 탈락했을때 전 빅터에게 은퇴하고 싶다고 말했습니다. 얼마나 그 생각을 해왔었는지 기억도 안나지만, 정말 강하게 들었고 쉽게 떨쳐지지 않았어요. 결국 전 드림핵과 홈스토리컵에 참가하게 되었고, 결과가 아주 좋지는 않았지만 제 권태를 걷어내주기에는 충분했고, 몇 개의 좋은 오퍼를 받아서 1년 더 계약을 연장했습니다.

계약을 연장하면서 참가했던 그 해 여름 대회들(홈스토리컵과 MLG등등)은 아주 즐거웠고, 제게 새로운 동기부여를 해주었으며, 전 제 실력이 다시 향상되는걸 느꼈습니다.

몇달 전, 전 코드A 진출에 한 경기만을 남겨두어 오랜만에 최고의 성적을 내고 있었습니다. 전 예선 결승에서 IM팀의 김민석(주: 지금은 탈퇴)선수와 맞붙었고 마지막 맵은 여명이었습니다. 임재덕선수가 그의 뒤에서 게임을 보고 있었죠.

나중에 들은 얘기지만 게임 중반까지 임재덕선수는 김민석 선수가 이길수 없는 게임이었다고 생각했다고 합니다. 불행하게도 김민석 선수는 기적같은 플레이를 펼쳤고, 전 두번의 중요한 교전에서 패배했죠.

당시 전 그렇게 실망하지는 않았습니다. 전 제 실력이 다시 늘고 있는걸 느꼈으니까요. 하지만 돌아보면 그 때가 제 실력이 평균보다 더 나았던 마지막 순간이었다고 생각합니다.

그 해 겨울은 그닥 좋지 않았습니다. 전 제 게임과 제 삶, 스타크래프트2에 회의를 느끼고 있었고, 그 때 제 스트림이나 게임을 봤던 사람이라면 누구나 그걸 느낄 수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뭔가 잘못되고 있었죠. 인생에 고비는 흔히 찾아오지만 전 정말 형편없이 대처했습니다.

전 그저 해외대회에 가서 가끔 보는 친구들을 만나기 위해 연습하기 시작했습니다. 전 꿈이 있었고, 한번 포기했죠. 제가 남겨놓은 것은 제대로 기억하지도 못하는 어릴적 꿈이었고, 제 마음 한켠에서는 항상 얼마나 제 의지가 약한지 알고 있었습니다. 동기부여를 위해서 전 해외대회에 참가하는 것에 완전히 의지하고 있었어요: 한국에 가고, MLG를 우승하고, GSL 예선을 통과하고, 더 멀리.. 베타기간동안에도 스스로 게임을 하도록 강제해야 했죠. 전 더 이상 제 것이 아닌 꿈의 어렴풋한 아지랑이를 쫓고 있었습니다.

인컨트롤은 저에게 만약 니가 게임을 하면서 즐기는 것 이외에 다른 이유를 찾아야 한다면, 그 때가 바로 게임을 그만두어야 할 때라고 말한 적이 있습니다. 전 항상 이 말에 동의하지는 않아요 -- 실제로 그렇지 않는 사람들도 많으니까요. 전 이윤열 선수가 더 이상 게임을 즐기고 있지 않다고 인터뷰하고도 몇 달뒤에 좋은 성적을 거둔 것을 기억합니다.

하지만 제게 그건 사실이었어요. 전 지쳐가고 있었고, 제가 돈을 꽤 벌어들이는 동안에도 전 이윤열선수 같지는 않았습니다. 2012 MLG 콜롬버스 다음날 베가스에 도착했을때, 전 제가 끝났다는 걸 깨달았습니다. IPL4가 제가 마지막으로 잘 할수 있는 기회였죠. 물론 그게 한순간에 가볍게 내릴 수 있는 결정이 아니라는 걸 알았지만, 빅터와 그 가능성에 대해서는 이야기를 해 두었습니다. IPL은 제가 괜찮은 수준으로 플레이할 수 있는 마지막 대회가 될 거라는 걸 알고 있었고, 전 그대회에서 예상보다 높은 곳까지 올라갔습니다(여기 적을 정도로 높이는 못갔지만요).

전 종종 임요환, 이윤열, 박성준, 장재호, 그루비, 박지수처럼 한 게임에서 다른 게임으로 종목을 바꾼 선수들의 동기부여에 대해 궁금했습니다(좀 덜 유명하지만 박경락, 이중헌, 김동수, 인썸니아, 드라코와 같은 예도 있고요). 그들은 어디서 다시 한번 꿀 꿈을 찾을까요? 이윤열은 스1을 플레이했던 선수중에 가장 재능있는 선수였고, 동시에 최고의 노력가이기도 했습니다. 그가 스2로 전향하는데 영감을 준 것들도 있었을 테고, 엄청나게 노력도 했을테지만, 전 그가 스1을 할때와 똑같은 열정을 가지고 있었다고는 생각하지 않습니다.

전 이윤열도, 임요환도, 박성준도, 장재호나 그루비도 아닙니다. 하지만 전 제 꿈을 위해 몇년동안 열심히 노력했죠. 그 노력에 비해 많은 것을 남기지는 못했습니다(스1에서는 최소한 그랬죠. 스2에서는, 물론 만족하지는 못하지만 아무것도 남기지 못했다고는 하고싶지 않습니다).

또 다시 게임을 어린아이같은 즐거움과 열정으로 대할 수 있을지 의문이 듭니다.

이야기 하고보니 졸 우울한 소리만 늘어놓은 것 같지만, 전 프로게이머가 되기로 한 결정에 대해 단 1초도 후회한 적이 없다는 걸 명확히 하고 싶습니다. 제 커리어중에 후회하는 순간도 있고 훨씬 더 잘할 수 있었던 것들도 있었지만 이 여정에 오른 것에 대해서는 절대 후회하지 않습니다.

제가 어릴 때, 제 꿈은 프로게이머가 되는 것이었습니다. 전 축구선수나 우주비행사같은 것에도 흥미가 없었어요. 물론 프로게이밍에 대해 몰랐을 때 사람들이 물어보면 전 해양구조헬리콥터 파일럿(아마도 옛날에 본 다큐멘터리의 영향으로)이나, Moses Kiptanoi를 보고 반해서 장거리 달리기 선수가 되고 싶다고 말한 적은 있죠. 하지만 제 진심으로 이게 하고 싶다고 느낀 것은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였습니다. 한국에서. 그리고 그 꿈을 이루게 됐죠!

제가 만난 사람들 -- 친구들, 동료들, 팬들 -- 과 제 인생경험은 절 어마어마하게 성장시켜줬고 전 제가 프로게이밍에 입문할때보다 떠나는 지금 훨씬 더 나은 사람이 되었다고 강하게 믿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물론 제가 이제 어디로 갈 것인지, 무엇을 할 것인지 궁금해 하리라 생각합니다. 대답은 이렇습니다 : 아무데도, 포커. 제 은퇴가 결정된 직후 우리는 집을 하나 구했고, 전 포커를 다시 배우고 브라질리언 주짓주를 연습할 생각에 매우 흥분해 있습니다.

왜 한번 떠났던 곳에 다시 돌아가느냐고, 달라봐야 얼마나 다르겠냐고 물을 지도 모르겠네요. 뭐, 사실 정말 얼마나 다를지는 모르겠지만, 전 지난 2년동안 많은 성장을 했다는 것을 알고 있고, 그리고 옛날에는 몰랐던, 포커를 플레이하는 것이 주는 자유를 이제는 알고 있습니다. 전 이게 현재 제가 내릴 수 있는 최선의 결정이라고 믿습니다. 앞으로 어떻게 될지 누가 알겠어요.

절 응원해주셨던 모든 분들에게 진심으로 감사드리고 싶습니다. 전 그렇게 주목을 받는 사람도 아니지만, 때때로 제가 주목을 받게 될때 여러분은 절 정말 편안하게 해 주었습니다. 여전히, 절 믿는다고 말해주는, 다음 시즌 코드A에서 볼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해주는, 어떤 토너먼트에 참가할 것인지 물어봐 주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한동안 그 질문과 기대들에 제대로 답할 수 없다는 사실이 절 괴롭혔기 때문에, 이 포스팅을 함으로써 한숨 돌린 기분입니다.

특히, 다음분들께 감사드리고 싶습니다 :

스타크래프트에서나 포커에서나, 제 꿈을 항상 응원해주는 부모님.
최근 몇년간 항상 응원해주고, 엄청난 통찰력으로 제 첫 GSL 참가에 큰 도움을 주고(그는 정말 진지하게 제 모든 연습 게임 하나 하나를 다 보고 분석해줬습니다), 좋은 친구가 되어준 빅터.
항상 보살펴주고 제 거지같은 변덕을 잘 받아준 oGs의 김성곤 전 코치와 박상익 전 감독.
과거와 현재에 함께했던 모든 내 팀리퀴드/oGs동료들. 만약 제가 한국에 살고 있지 않았다면 이 작별인사는 훨씬 더 슬펐을 겁니다.
모든 여행을 편하게 해주고, 보통 게이머들이 놓치기 힘든 부분까지 신경써 준 팀리퀴드 스탭들.
내 모든 친구들. 한명의 '보통 사람'으로서, 대회에서밖에 만나지 못한 여러분들을 다시 만날 기회가 있기를 바랍니다.
아이콘 수에리스 (2012-08-07 15:09:44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시밤 번역하고나니까 넘슬프네.. 잘살아 자식아.. ㅠㅠ
아이콘 포메라니안 (2012-08-07 15:57:09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수에리스//감사합니다 겁나 슬프네요 ㅠㅠ
아이콘 루디 (2012-08-07 16:02:14 KST)
0↑ ↓0
센스 이미지
번역기댓글은 지우지; 스크롤만길어지네
아이콘 [zGs]SliverFoxMC (2012-08-07 17:18:52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진로...잘가요 ㅜ
아이콘 만링링 (2012-08-07 17:33:14 KST)
0↑ ↓0
센스 이미지
아 슬프다ㅠ
진로 잘가요ㅠㅠ
아이콘 김목사 (2012-08-07 18:33:15 KST)
0↑ ↓0
센스 이미지
턱돌이가 은퇴하네용 ㅠㅠㅠㅠㅠㅠㅠㅠㅠ
아이콘 해병산개 (2012-08-07 20:48:31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그는 좋은 테란 유저였습니다ㅜㅜ
아이콘 nice10e (2012-08-08 03:15:51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으아아.... 아쉽네요. 부활하기를 기대했던 선수였는데... 으악...
아이콘 잉여_흠알에치 (2012-08-10 06:12:40 KST)
0↑ ↓0
센스 이미지
아 진로찡 ㅠㅠㅠㅠㅠㅠㅠ
아이콘 슈퍼공돌이 (2012-08-11 19:47:49 KST)
0↑ ↓0
센스 이미지
ㅜㅜ
댓글을 등록하려면 로그인 하셔야 합니다. 로그인 하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롤토체스 TFT - 롤체지지 LoLCHESS.GG
소환사의 협곡부터 칼바람, 우르프까지 - 포로지지 PORO.GG
배그 전적검색은 닥지지(DAK.GG)에서 가능합니다
  • (주)플레이엑스피
  • 대표: 윤석재
  • 사업자등록번호: 406-86-00726

© PlayXP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