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yXP

서브 메뉴

Page. 1 / 39 [내 메뉴에 추가]
글쓰기
작성자 아이콘 ATana
작성일 2011-05-25 22:56:06 KST 조회 9,036
제목
Fnatic "이제는 한국이 해외로 눈을 돌려야할때"

해외 스2 팀 Fnatic 홈페이지에 올라온 글입니다. 채정원해설 인터뷰에 답하는 내용이네요.

 

서론

그동안은 해외에서 한국의 이스포츠를 주목하고 한국의 프로게임 팀들과 토너먼트를 따라하려고 노력해왔다. 하지만 이제 해외 이스포츠가 한국 이스포츠를 앞서고 있으며 한국이 해외를 주목해야 할 때가 왔다.

 

아무래도 이 논란은 GSL 슈퍼토너먼트 참가 건 때문에 일어났을 것이다. 이번 슈토에서는 한국에 사는 단 두명의 해외 프로게이머만 참가하였다. 최근 Fnatic의 매니저는 왜 해외 프로게이머가 GSL을 거부하는 지를 설명했었고 GSL 해설의 대답이 있었다.

 

분명히 해외 프로들에게 한국행을 택하지 못하게 하고 글로벌화를 방해하는 벽이있다. 왜 해외게이머들이 GSL을 포기하고 자신의 집으로 돌아가는걸까?

 

생활환경

해외게이머들에게 젤 어려운 점은 생활환경이다. 한국행을 택할때 포기하는것은 단순히 주소변경이 아니다. 집,가족, 친구 모두를 포기해야한다. 그들은 게이머의 충실한 서포터들이고 의지할수있는 대상이다. 이런것들을 포기하는것은 쉬운일이 아니다.

 

한국로 가면 게이머는 모르는 사람들과 생활해야한다. 한방에서. 서부 문화는 한국 문화와는 다르다. 개인적이고 자유로운 성향의 서부인이 모르는 사람들과 한방을 쓴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이런것에 익숙하기 위해선 굉장히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거기다 스트레스적인 요소들도 있다. 새 음식, 문화, 법, 관습, 등등 에 빨리 적응 해야만한다. 젤 힘든건 언어문제다. 한국과 해외의 언어소통 벽은 진짜 크다. 안그래도 소통하기 힘든데 같이 살면 더 힘들지 않겠냐.

 

연습환경

위에 문제점들은 연습환경으로 이어진다. 서부인들은 한국인들과 소통하기가 어렵다. 결론은 해외게이머가 한국팀과 생활하는 것은 매우 힘든일인것이다.

 

그럼 결론은 곰티비가 마련한 GSL 글로벌 숙소로 들어가는것이다. GSL 글로벌 숙소는 GSL 참가를 희망하는 모든 해외게이머들에게 열려있고 매우 좋은 프로그램이다. 이 숙소는 기본적인 잘곳, 샤워, 연습실을 제공한다. 하지만 연습상대로의 프로게이머들이나 다른 연습환경은 제공하지 않는다. 결국 할수있는 연습은 한국서버 레더밖에 없다.

 

만약 니가 능숙한 한국어를 구사한다면 한국프로팀에 연락을 할수도 있다. 하지만 프로팀들이 받아줄지 안받아줄지도 잘 모름. 결국 닌 다른팀맴버니까.

(ㅈㅅ 힘들어서 말투가 바뀜)

 

한국으로 이동하는 비용

한국으로 가는거도 문제임. 평균 비행기값이 1500불정도에 밥값, 전화, 등등 낼 비용이 많음. 팀입장에선 GSL참가할 한달동안 낼 돈이 너무 많음.

 

만약에 니가 한국에서 코드 S나 A에서 흥하고 있다고 치자. 근데 ESL이나 MLG에서 니가 참가하기를 기대하고있어. 그럼 그건 또 1500불의 비행기값에 300불정도의 호텔비가 증발하지. 그럼 결국 니네 미국이나 유럽집에서 생활하는데 필요한 돈의 3-4배가 한국에서 살는데 필요한거임.

 

만약 니가 광탈하면 나머지 3주는 그냥 백수생활임. GSL 말고는 대회가 없거든 ㅋ.

 

이건 혼자갔을때 얘기고 팀 전체가 가면 어떨거같음? 위에 필요한 비용 X5정도가 되고 살 집도 알아봐야됨.

 

기회비용

니가 한국에 한달간 간다면 수많은 온라인 토너들을 포기해야됨. 해외에서는 15일동안 평균 총상금이 19000불임.

 

한국행은 결국 MLG같은 대회 불참으로 이어짐. 실제로 월드토너먼트 기간동안 우리팀 소속 센이랑 TT1은 MLG Dallas에 불참했음.

 

만약 슈퍼토너에 참가하면 MLG Columbus에서 이런일이 또일어남. 한국이랑 미국이랑 왔다갔다하는게 쉬운거같음? 선택은 뻔함. MLG가 더 중요함.

 

이번에 MLG랑 연계해서 우승자가 한국에 가더라? 하지만 그것도 결국 약함. 현재로썬 한국이랑 MLG에 선수들 돌려 보낼만큼 지원이 빵빵한 프로팀이 없음. 그리고 선수가 한두명이냐? 여러명일때 생각을 해봐.

 

책임감

근데 왜 MLG가 GSL보다 중요하냐고? 스폰서때문이다. 우리는 북미,유럽에서 활동하는 기업들 스폰서를 받고있지. 그럼 북미대회인 MLG에서 활동해야되는게 스폰서들에 대한 책임이다.

 

Fnatic은 MSI의 지원을 받고있지. MSI는 주로 유럽에서 활동하고 한국보다는 유럽이 더 중요한 시장이지.

 

한국시장이 있는 기업 지원을 받지않는 이상 한국활동은 꿈임. 물론 인터넷덕에 한국게임을 유럽에서 볼수도있음. 하지만 두개의 리그가 동시에 일어나면 결국 집에서 가깝고 돈이 더되는 유럽,북미리그를 선택하는거임. 거기 팬들이 있고 시장이 있고 돈절약이 되거등.

 

결론

진정한 이스포츠의 글로벌화는 꾸준한 통일된 리그임. 계속 소통하면 아마 발전하지 않을까 싶음. 이스포츠는 짱이니까.

 

 

 

지속적인 허위 신고시 신고자가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신고 사유를 입력하십시오:

아이콘 나엘개[간]지 (2011-05-25 23:01:49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바닷속에 광섬유좀 심자고..
아이콘 야쿠대 (2011-05-25 23:05:55 KST)
0↑ ↓0
센스 이미지
이렇게 서로 소통하면서 좋은 해결책이 나왔으면 좋겠네요
아이콘 고기장군 (2011-05-25 23:06:12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ㅇㅇ 이제는 바닷속 광섬유를 통한 온라인대회가 아니라면 불가능함.
아이콘 Lainworks (2011-05-25 23:34:57 KST)
0↑ ↓0
센스 이미지
너무 징징거리는데
3434 (2011-05-25 23:37:24 KST) - 183.99.xxx.172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한국과 서양의 가치관차이니까 그냥 이해해야죠.
아이콘 ATana (2011-05-25 23:42:21 KST)
0↑ ↓0
센스 이미지
아이콘 떠있는구름 (2011-05-25 23:42:45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3연벙의추억 // GSL 상금은 블리자드가 주는게 아니고 타이틀 스폰서에서 주는거죠. GSL 역대 스폰서 보면 삼보-인텔, 소니에릭슨 3번, 인텔, LG 인데 기업 스폰서 구하기 힘들다는건 무슨 말인지 모르겠네요;;

아이디어 자체는 괜찮은거 같은데 잘 모르겠음. 그렇게 되면 온라인 대회 위주의 대회만 잔뜩 생겨날텐데 그건 그것대로 또 재미없을거 같고...
아이콘 떠있는구름 (2011-05-25 23:47:41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근데 솔직히 fnatic 쪽의 반응이 이해가됩니다.
GSL이 가장 큰 대회죠. 현재 큰 대회들 경기력만 놓고 봤을 때 가장 수준 높은 대회도 GSL이라고 봅니다. 축구나 야구 같은 경우 수준 높은 대회에 선수들이 많이 가고 싶어하죠. 프리미어리그라던지 메이저 리그라던지... 하지만 현재 스타2 판에서는 오히려 반대 현상이 일어나죠. 수준 높은 대회를 꺼려한다는.... 그런 이유는 다른 스포츠에서는 수준 높은 대회는 곧 수준 높은 연봉을 의미하는데 현재 이스포츠 판은 수준 높은 대회는 곧 상금 따기만 힘든 대회로 되버리죠. 앞으로 이스포츠 판이 커져서 기업 스폰이 좀 많이 생기고 스1 처럼 연봉제가 생기고 하면 해외 선수들 유입도 어느정도 가능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물론 그 기업이 글로벌 기업을 추구하고 있어서 해외 선수들의 활약이 그 기업에 도움이 될 때에 한해서겠지만요. 하지만 스2의 경우에는 현재 상황대로 커간다면 글로벌 기업의 글로벌 마케팅에 큰 도움이 될 거라고 봅니다. 위에서 언급한대로 만약 해외 팀이 한국시장을 노리고 있다면 그것도 한국 가는 경비를 지급해주는 큰 도움이 될 거구요
아이콘 ATana (2011-05-25 23:49:18 KST)
0↑ ↓0
센스 이미지
그런데 징징대는게 아닌게 애초에 해외 프로게이머들을 원한건 GSL, 곰티비였습니다. (해외스트림 시청률때문이겠죠) 해외프로게이머들은 니들이 그렇게 원하면 대우를 해줘라 라는 자세구요.
아이콘 떠있는구름 (2011-05-25 23:49:30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하지만 우리나라 시장을 노리기 위해 외국 선수를 GSL에 파견하는 일은 크게 없을거 같고(우리나라 시장 자체가 워낙 작으니...ㅠㅠ) 차라리 GSL 스폰서가 항공사 스폰이여서 해외 선수들 경비를 대준다거나, GSL 자체를 해외에서 가끔 치루는 정도로 한다면 어느정도 해외 선수 유치가 가능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아이콘 고기장군 (2011-05-25 23:59:50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일단 미국이나 유럽에서 한국과 전혀 차이없이 경기를 치를 수 있다면, 그것만으로도 gsl을 해외로 확대할 기반의 90%는 이룬거나 다름없음.
아이콘 [Concept] (2011-05-26 00:01:57 KST)
0↑ ↓0
센스 이미지
해외선수들이 못오는건 단지 gsl 성공하는 벽이 커서 그런거죠... 적어도 경비 이상은 뽑고가야하는데... 실패하면 위글처럼 백수 생활되닌깐...
근데 반대로 만약 gsl이 현상금은 북미,유럽 권보다 수준이 낮다면... 이런말 안나올텐데...
즉 시도하는 하고싶지만 실패의 두려움이 있기에 꺼려한다고 보죠...한국에 있는 대회를 순 돈벌어야 하는 도박수단으로 여기죠....(전략겜은 오로지 겜에만 집중 할수있는 깨끗한...멘탈이 필요로하닌깐...)


결국 제가 하고싶은말은.. 한국인 스2 게이머가 수준높아서 도저히 외국선수층이 끼기 힘든면과 시즌 우승자리까지 노려야하는 압박감이있기에... 이를 보완할려면 다른 유럽,북미대회랑 gsl 이 연계하는 식으로 해줘서 다양한 gsl에걸맞는 대회가주최 했으면바람임 ㅎㅎ
아이콘 RealDreamer (2011-05-26 00:04:53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월드챔피언쉽 미국에서 여는 게 나음
미국에서 MLG랑 GSL월챔 양대리그로 돌리면 되지
월챔 기획한 것도 한국이 외국에 비해 이스포츠시장에선 우월하다는 착각때문이다
이제 어느정도 반성 하고 GSL 말고 또 다른 대회를 여는 것도 나쁘지 않죠
아이콘 떠있는구름 (2011-05-26 00:05:36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3연벙의추억 // 상금이 1억이라고 스폰 비용이 그렇게 커지는건 아니에요... 상금 3천만원씩 하는 OSL이나 MSL 한번 스폰하는데도 정확히는 알려져있지는 않지만 최소 3~5억정도로 알려져있습니다. 상금이 1억이면 대회 운영비를 줄여서 스폰비는 늘리지 않은 상태에서 가능하구요. 그리고 GSL 은 처음에 당연히 검증되지 않았죠. 하지만 곰플레이어는 이미 검증된 소프트웨어 아닌가요? 몇 년전에 우리나라 곰플레이어 점유율이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 뛰어넘었다는 기사도 나왔었고 GSL 스폰 해준 기업 보시면 곰플이랑 다른 곰티비 프로그램에서도 광고 다 틀어주는거 보실 수 있습니다.
아이콘 떠있는구름 (2011-05-26 00:06:27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ㄴ 그리고 오픈 1~ 2 시즌에서 기대 이상의 성과를 거두면서 GSL 자체도 어느정도 검증 받은 대회로 되었구요
아이콘 떠있는구름 (2011-05-26 00:14:01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3연벙의추억 // 님 말대로 시즌 1이 기대 이하의 성과라면 시즌 1때 스폰 안할 이유가 없겠네요? 원래 훨씬 기대가 컸으니 더 죽기 살기로 스폰 하고 싶어했겠죠.
아이콘 떠있는구름 (2011-05-26 00:19:42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3연벙의추억 // 제가 곰플레이어가 인정받는 방송 수단이라고 한적이 없는데요? 애초에 곰티비에서 GSL 을 개최하면서 접근성이 어려운 방송수단으로 방송하면서 저는 기대감이 적었는데 시즌1이 그 기대감을 넘어서는 효과를 나타냈다는 의미로 쓴거고 기대감이 컸다고 말씀하신건 오히려 님쪽이었죠. 제가 인정받는 건 곰플레이어라고 했지 곰티비라고 한적 없습니다
테묵묵 (2011-05-26 00:33:22 KST) - 222.251.xxx.26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3연벙 :
상금은 시상식때 관련 기업 임원이 나오죠? 거기서 후원하는겁니다.
스폰서가 LG와 인텔일때 우승자는 LG 준우승자는 인텔 이렇게 줬던거 같구요
그 외 기타 비용은 또 협찬이 많이 있습니다

그리고 전 세계 방송이라는 이점이 커요 그래서 주로 글로벌 기업들이 스폰이 되는거고
스타1은 국내무대가 주가 되기 때문에 오히려 스폰이 더 안되고 있죠

그리고 블루 오션이라는 거 아시나요?
뜨는 해는 기대심리로 인해 현재 미약하지만 더 투자를 하는겁니다
린치 (2011-05-26 00:33:35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충분히 이해가 되는 발언이네요.

저는 한국 충남에살고있지만 오픈시즌 예선때 돈아까워서 예선안갔거든요..

차비 밥값만 4~5만원들어가는데 광탈하면?? 저도이런생각인데 해외사람들이야 말할필요도없죠;
아이콘 AUTOEXEC.BAT (2011-05-26 00:37:10 KST)
0↑ ↓0
센스 이미지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일정을 사전에 못받아서 못간다는 의견에 대해 채정원 해설이 '개소리다. 이미 월챔때 다 알려줬다.' 하니까 그 얘기에는 반박 못하고 결국 '왔다갔다 하는데 비용이 왕창 깨지니까 못가' 이거네.

존나 당연한 소리를 하고 있어. 한국선수들을 이기고 싶으면 한국으로 오고, 그렇지 않으면 그냥 너희들 끼리 놀아라.
아이콘 AUTOEXEC.BAT (2011-05-26 00:39:02 KST)
0↑ ↓0
센스 이미지
어차피 gsl에서 외국애들 안나오면 그냥 아쉬운거지 . 그렇다고 리그가 안돌아가는거도 아니고, 네들 없어서 리그 질이 떨어지는 거도 아니고 어차피 대충 생각하고 올거 TLO 처럼 개발리고 돌아가는거지 -_-
아이콘 떠있는구름 (2011-05-26 00:39:23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3연벙의추억 // 참... 제가 이전 글에서 님한테 "이따위"로 말하면서" 라고 말할 만큼 님 기분을 상하게 했는지 이해가 안되네요. 전 애초에 님이 잘못된 정보를 쓰셨길래 그거 정정한 거 뿐인데 님이 알고 있다고 생각한 사실이 실제 사실과 다르다고 말을 참 험하게 하시네요.

제가 말하려고 한 건 애초에 님께서 말씀하신 전자의 경우입니다. 인터넷 연결된 컴퓨터에서 자신의 하드에 있는 동영상 실행해도 곰플레이어에 다 광고 나옵니다. 곰티비에 있는 컨텐츠 사용할때만 광고 나오는게 아니라요... 물론 그 광고가 곰티비 컨텐츠 사용할 때처럼 티비 광고 형태로 나오는게 아니라 배너 광고나 글 광고 형식으로 나오는거지만요. 그리고 시즌 1에서 기업이 믿을건 이 광고 뿐만 아니라 애초에 '스타크래프트2' 라는 게임 자체가 기대감 있던 게임이었는데 그런 게임으로 하는 대회 스폰하는것에 얼마나 더 큰 믿음이 필요한가요?
골고다 (2011-05-26 00:52:32 KST) - 218.209.xxx.120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3연벙의 추억/ 야 임마.. 그만 닥치고 씻고 자라. 너랑 떠있는구름의 대화는 흡사 초등학생과 20대 직장인의 대화를 연상케 한다. 쥐뿔도 모르는 놈이 여기저기서 주워들은 풍월 읊으면서 논리로 상대가 안되니까 허수아비치기까지.. 가관이다. 미취학 아동 수준의 사고력을 가지고 이 험한 세상 어떻게 살아갈래 ㅋㅋㅋ
아이콘 불곰형수님 (2011-05-26 00:57:59 KST)
0↑ ↓0
센스 이미지
그렇다고 돈을 지원해줄수도 없는노릇이고.. 사실 애초부터 글로벌로 진행하기엔 무리였죠..
아이콘 ThisisZero (2011-05-26 01:04:03 KST)
0↑ ↓0
센스 이미지
니가 한국에 한달간 간다면 수많은 온라인 토너들을 포기해야됨. 해외에서는 15일동안 평균 총상금이 19000불임. < 이건 많다고 판단해야 하나요 적다고 판단해야하나요. 오픈시즌 총상금이 2억이었는데. 오픈시즌 끝나고 정규시즌 시작하면서는 상금 규모가 제법 줄어든 것 같은데요.
아이콘 떠있는구름 (2011-05-26 01:07:02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ThisisZero // 분명 해외 대회 1등 < GSL 4강~8강 정도밖에 안됩니다. 좀 상금 쎈 대회가 GSL 2위랑 좀 비슷하고 GSL 우승 상금 넘는 해외대회는 아직까지 없었습니다. 문제는 해외 선수들이 GSL 에 가서 돈을 더 많이 벌것인가. 아니면 여러 해외 대회에 나가서 돈을 벌 것인가를 선택해야하는거죠. GSL 에 가게 되면 큰 상금을 벌 가능성이 생기지만 1개의 대회에 올인해야하는 만큼 위험 부담이 생기는거고 해외 대회를 선택하면 적은 상금을 벌게 되지만 한 개의 대회가 아닌 여러 대회를 다 출전할 수 있으니 그만큼 위험부담이 줄어드는거구요
아이콘 GxPray (2011-05-26 01:48:31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대회만 많으면 지금보단 나을텐데 고수가 많아서 모르겠네요 그래도
아이콘 이안스터커[P] (2011-05-26 02:19:13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결과적으로 스타2의 한국시장이 좁기때문입니다.

전망역시 밝지 않는데 외국선수들이 한국에 있을 이유가 없는것이죠.
징징 (2011-05-26 02:25:13 KST) - 208.72.xxx.161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빙빙 돌려 말하는데 결국은 돈임.
문화/언어/생활 등등 스폰서 확실하게 있고 돈만 준다면 다 해결되는 문제임.
미국 스포츠 팀도 돈 많이 벌 기회가 있으니 가족/문화/생활 다 팽개치고 영어도 지들이 공부해서 홀로 날라오는거 아니겠음? 결국은 돈이 적으니 기껏 와봐야 수지타산이 안맞는다 얘기임.
아이콘 MexiBeaR (2011-05-26 02:44:25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그럼 MLG같이 온라인으로 예선을 진행하고 오프라인으로 경기하러 가는거에 대해서는 아무말도 안하면서 괜히 1달동안 한국에 있을꺼만 생각하면서 생활비네 뭐네..해외에서는 많은 게이머를 투잡을 뛴다고 하지만 같은 일에 종사하는 사람인 우리나라 게이머들은 오전 11시에 시작해서 새벽 3시까지 연습하고 누구는 일하다 남는시간에 게임하고..같은실력을 바랍니까? MLG오프라인 기간에는 더 짧은 기간밖에 체류를 안하는데 그게 더 돈이 많이 들지 않나요??숙박비, 식비, 연습비 등 말이죠..저는 Fnatic이 선수보내고 우승해서 상금 타갈 확률이 적으니 보내기 힘들다..이런 변명으로 밖에 들리지 않습니다. 정작 생활하고 있는 WE나 팀리퀴드는 큰 말 안하는데 왜 국내팀과 연계할 생각도 안하면서 따로 놀려고 하는지 모르겠네요 Fnatic..
아이콘 caseeker (2011-05-26 02:45:53 KST)
0↑ ↓0
센스 이미지
팀플쩔어염 / 불쌍하다 ;;;
치킨윙 (2011-05-26 02:49:20 KST) - 116.39.xxx.221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결국 GSL도 스타1 처럼 될것같음. 초반에 기욤패트리나 베르트랑같이 서너 선수들 좀 활약하다 결국 한국선수만 득세하고 그렇게 고착화 되서는 국내대회 되는거지 뭐... G들만의 Star League
아이콘 winpark (2011-05-26 03:17:31 KST)
0↑ ↓0
센스 이미지
그냥 우승하긴 힘드니 하는 변명으로밖에 안보임... MLG가 체류 비용면에서 더 나은 조건도 아닌데..
카친스키 (2011-05-26 03:58:41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요즘 우후죽순 생겨나는 해외 리그와 GSL을 보면서 가장 우려했던 게 바로 이 부분인데.. 타 커뮤니티에서도 간간히 언급이 나오고 때로 간혹 본인이 참여한 토론도 있었습니다만, 현재 GSL을 둘러싸고 벌어지는 일들은 스타1의 판과는 상황이 많이 다릅니다. GSL이 최강의 리그이고 꿈의 무대임을 입증하는 가장 확실한 지표가 될 수 있는 것이 바로 선수들의 기량입니다. 쉽게 말해 해외 리그에서 외국 선수들을 압도적인 경기력으로 발라버리는거죠. WCG의 스타크래프트1 종목처럼요. 그런데 지금 해외리그에 출전하는 한국 선수들의 성적은 (물론 선수들이야 열심히 하고 있겠지만) 'e-sports 종주국'의 위엄을 떨치고 있다고 보기엔 부족합니다. GSL은 독보적인 위치에서 스타크래프트2계의 메카와 같은 역할이어야 하고 실제로도 그래 왔는데 해외 각국에서 모인 선수들이 GSL리거들과 대등한 성적을 내고 있다는 것은 그만큼 GSL의 위상이 떨어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겠지요. 이건 장거리로 접속할 수 밖에 없어 발생하는 랙이나 반응속도 따위의 문제 이전의 근본적인 문제입니다.

그럼 선수들의 경기력을 끌어올려서 좋은 성적을 거두게 하면 될 게 아니냐? 이런 반론도 가능하겠는데, 이게 쉽지도 않을 뿐더러 사실 이 문제가 끝이 아닙니다. 어쩌면 더 중요한 부분일 수도 있는 부분인데, 바로 '글로벌' 의 의미 자체가 퇴색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채정원 팀장과의 인터뷰와 이 답신 본문에도 공통적인 주제가 되는 부분인데, 큰 규모의 해외 리그가 하나둘 생겨남에 따라 GSL을 목표로 들어왔던 선수들이 하나둘씩 이탈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그 이유는 본문에도 잘 설명이 되고 있고 납득할 만 하네요.

언급한 첫번째 문제와 두번째 문제 중 어떤 것이 먼저이고 어떤 것이 나중인지 구분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GSL의 독보적인 스타크래프트2 리그로서의 위상이 떨어졌기 때문에 선수들이 줄줄이 이탈하는지, 아니면 그로 인해 GSL의 위상이 떨어지고 있는지. 어쩌면 둘 다 맞는 말이겠지요. 관련업계 종사자도 아닌 그냥 한명의 이스포츠 팬으로써 당장 해결책을 제시하기엔 사안이 단순하지가 않군요. 가장 좋은 시나리오는 스타2에도 스타1처럼 기업스폰이 들어오는 시나리오 정도일까요? 음.. 가장 좋으나 현재로선 가장 현실성도 없군요.


기사 제목의 "이제는 한국이 해외로 눈을 돌려야 할 때" 라는 문구가 굉장히 와 닿네요. 기분이 썩 좋진 않지만 지금의 상황에서 이보다 더 적절한 말은 없겠네요. 위기입니다, 채정원 팀장님. 대위기에요!
hell_SS (2011-05-26 04:06:33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기회비용

니가 한국에 한달간 간다면 수많은 온라인 토너들을 포기해야됨. 해외에서는 15일동안 평균 총상금이 19000불임.

그래서 상금랭킹 상위가 다 한국인이던가;; 이딴건 다 변명이고 이름이 global 이니까 외국인들이 좀 껴보고 싶은데 실력이 안되니까 우린실력이 안되서 모든걸 버리고 gsl 갈 맘 없음 그니까 외국인 대우 해줘서 우리도 가게 해줘라는건데 말도안됨 그냥 잘하는 선수들만 모아서 최고실력의 대회 어차피 상금은 딴거보다 많으니까 실력되면 오삼 하는게 더 좋지 안을까 한국에선 해외시청자땜에 어쩌구 하지만 사실 해외에서 보는 외국인 진짜많음 그런건 별로 상관없는데
webb (2011-05-26 05:07:37 KST) - 220.117.xxx.142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이상한 댓글 참 많네요. 저 같아도 안 올거 같은데.. 자기동네에 좋은 대회가 많이 있는데 뭣하러 한국까지 올까요. 입장바꿔보세요. 스웨덴에서 대회하면 가시겟습니까? 무슨 축구, 야구처럼 돈이 되는 것도 아니고.. 애초에 곰티비 스타리그는 우리나라끼리 하면됩니다. 오고싶어하는 외국인이 있으면 와서 하면되는거고 아니면 말고. 스타1때 무슨 해외선수들 없어서 대회 못하고 그런것도 아닌데.. 왜 이제와서 글로벌에 집착하는지 모르겟네요.
ffff (2011-05-26 06:00:25 KST) - 172.162.xxx.158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15일동안 평균 총상금... 마치 한선수가 상금 다 쓸어버린다는듯이 써놓는구나..

어차피 푼돈 나눠먹는거고 그거 다 보면 그마저도 거의 다 온라인 대회다 -_- 맨날 한국에서 하는거 랙 별거 아니라도 노래 불러대는 외국놈들 입장대로라면 한국 와서도 전혀 못할 이유가 없다.

근데 진짜 곰티비 구차하게 해외인들 모셔갈려고 하지 마라 좀. 실력있는 놈들이, 진짜로 우승 가능성 있다고 믿고 우승 노리는 애들이 제발로 와야지 뭐가 좀 돌아가는거지

중급애들 지원해줘서 데려온다고 걔네가 뭐 잘 나갈거같냐? 뭐하러 뻘짓하는지 안쓰럽네
ffff (2011-05-26 06:03:14 KST) - 172.162.xxx.158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글고 애초에 실력이 있으면 한국 살아도 장민철처럼 코펜하겐 가서 돈따오고 드림핵 초청당해서 돈따오고 할수 있는거여. 얘넨 하는데 니넨 왜못해. 걍 실력이 딸리니 못하는거지

고로 실력 딸리는애들은 걍 부르지를 마. 지금 애들이 안오는 이유가 한국에서 우승할 가능성 없고 중급애들은 실력 허접한거에 비해 유럽서 돈 더 잘벌리니깐 안오는거야. 근데 그런 중급애들을 gsl에 뭐하러 들여보내?

최고급 애들은 어차피 우승 상금에 욕심이 생겨서 알아서 기어오게 되어있다. 나니와가 한국 오고 싶다고 노래 부르잖아? 우승할 가능성 있다고 판단한거야. 그런 자신감 차있고 우승할 생각을 가지고 있는 애들을 데려올 궁리를 해라 이상한애들 말고
아이콘 UrNaTiOn (2011-05-26 07:47:21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그냥 연봉이 높으면 되는데... 할튼 그분들이 해외에서 활동하면, 결국엔 실력차가 벌어진다는거... 결론은, 늘고 싶으면 한국으로 오라. 그리고 TLO처럼 나중엔 떠나라
월러스타인 (2011-05-26 09:46:32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http://www.playxp.com/sc2/forum/view.php?article_id=2832606
포럼게시판에도 적었지만, GSL은 바뀌어야 합니다.

지금 같이 월단위 코드S-승강전-코드A 구조로는 절대로 외국인이 참여 할 수 없습니다. 이름을 곰티비 스타리그로 바꾸던지 구조를 완전히 바꾸던지 둘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합니다.

대회기간을 줄이고 대회를 늘리는게 방법이지만 스폰서유치가 불가능 할 것이고,
결과적으로 가장 좋은 대안은 피씨방 예선, 코드A 32강전, 승강전 등 하루에 선수의 모든 운명이 좌우되는 시스템 자체를 개선해야 합니다.

코드S를 포인트 중심 운영으로 바꾸고 PGA 투어의 Q스쿨 같은 제도를 도입해서 하루짜리 승패에 1-2달이 좌우되는 시스템을 없애고 코드S 참가의 유동성을 크게 늘려야 합니다.

GSL 포인트를 해외대회와 연계시켜서 선수들이 당월 GSL에 참가하지 않고 해외대회에 나오더라도 포인트만 충분하다면 차기 GSL 스폰서쉽에 코드S로 활동할 수 있게 하고.

Q스쿨은 하루짜리가 아닌 비방용으로 수일에 걸쳐 제대로 실력 검증을 함으로써 자신이 할 수 있는 모든걸 쏟아 낼 수 있는 구조로 가야 실력있는 신인들도 쉽게 접근 할 수 있습니다.

곰티비가 한국선수의 해외대회 진출을 위해 일정까지 조절하는 등 여러모로 신경쓰고 있는 건 보이지만 결과적으로 한계가 보입니다.
아이콘 야헝이 (2011-05-26 09:58:35 KST)
0↑ ↓0
센스 이미지
최정원 해설 의견보고 너무 일방적이라 생각했는데, 역지사지 할 때가 아닌가 싶습니다. 한국이 지리적으로 반도를 가장한 섬나라라지만 그렇다고 의식까지 섬나라따라 갈 필요는 없을 듯 하네요. 프나틱 글이 상당히 공감가는 부분이 많습니다.

해외여행말고 해외에서 몇 년이라도 거주경험이 있으신 분들이라면 더 쉽게 공감하실듯.

그리고, 예전 캐스파같이 판을 더 키울려고 노력도 안하고 국제무대는 그냥 발가락만 담가놓고 언제든지 커지면 '끼어들겠다'식의 우물안 개구리 운영을 배울 필요는 없다고 봅니다. 해외리그와 유기적 연계를 통해 스폰서도 국내-국제 별도 유치 등 좀 더 크게 그림을 그리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어쨋건 이런 모든 기회가 곰티비에게 지금 있습니다. 그걸 아는지 모르는지 그건 모르겠고요.
아이콘 LetsGoGo (2011-05-26 10:45:18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저쪽은 지네 동네에서 하고 우린 우리 동네에서 하는게 맞다고 봅니다. 지금 Fnatic에서 제기 한 문제는 한국 선수가 해외 나갔을때 똑같이 다가올 문제입니다. 서로간 절대 해결 할 수 없죠;; 각 나라별 프로축구 있고 1년에 한번씩 챔스 하는거 처럼 해야 할 듯..
아이콘 LetsGoGo (2011-05-26 10:46:39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우리가 메이저인데 해외 나갈 필요도 없고요.. 메이저가 마이너한테 1-2번 졌다고 메이저가 아닌건 아니니깐요..
Bstar1 (2011-05-26 11:19:33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솔까 뭔 세계 메이저 대회도 아니고 물론 인지도 넘사벽인것도 아니고 해외 에 대회 많은데 구지 모든걸 포기 하고 오게 할 정도 메트리가 없지( 누구들처럼 겁나 승부사 지길이 충만한 경우가 아니라면)

아님 환경으로 할수있는걸 제시하던
그러지 않는이상 그냥 G자 버리고 그냉 국내 대회로 돌려라
wcg 같은곳에서 붙으면 되니깐

아무튼 곰이 하는게 그렇지 ㅉㅉ 곰 같아서 ㅋㅋ
DeKay (2011-05-26 16:47:33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블리자드가 대회용의 원활한 통신환경을 따로 제공해서 해외와 동시중계를 하는 쪽이 나으리라 생각합니다.
아이콘 SunShine_No.1 (2011-05-26 19:02:34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이건 어쩔수없는 문제 아닌가? 반대로 말하면 한국선수가 외국으로 나가도 위에 말들이 똑같이 해당되니까. 글로벌에 너무 집착하지 않았으면 좋겠다.
아이콘 zin21c (2011-05-26 19:32:36 KST)
0↑ ↓0
센스 이미지
온게임넷과 MBC게임에서 자체적으로 스2 리그를 만든다면 좋겠지만 곰TV가 스타2 관련 권리를 독점하고 있으니 안될거야 아마..
아이콘 악마사냥꾼 (2011-05-26 20:04:49 KST)
0↑ ↓0
센스 이미지
온게임넷하고 엠겜에서 스2리그 만들더라도 이건 해결 못할걸요? 온겜넷이랑 엠겜에서 스2리그 해서 뭐 대회일정 추가되고 돈벌이에 도움 되도 모를까... 그래도 실력 안되잖아요? 실력파들이 우글우글한데... 외국인들이 뭐하러 오겠음?
아이콘 악마사냥꾼 (2011-05-26 20:05:47 KST)
0↑ ↓0
센스 이미지
결론은 GSL 우승할 자신 있고, 다른 스2리그도 추가되고 하면 충분히 실력 있는 외국인 프로게이머 한국에 옵니다. 자기 돈 내고. 하지만 역시 중요한 건 실력.
trakon (2011-05-27 00:33:18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팀리퀴드에서 저 글에 대한 반응은 주로 너무 징징은 그만합시다 정도로 귀결되던데....
글을 열심히 쓴건 알겠는데 공감은 못하겠다가 주 반응임
아이콘 코도먹는풋맨 (2011-05-27 00:47:59 KST)
0↑ ↓0
센스 이미지
스1처럼 뭐 연봉제 하는데 외국애들이 우리나라에서 주는 연봉... 상당히 많이 받아야 할겁니다. 굳이 외지 생활하면서 연봉받아 생활하려면... 그리고 그정도 연봉 주고 쓰느니 차라리 우리나라 선수 쓰고말죠.
아이콘 코도먹는풋맨 (2011-05-27 00:49:30 KST)
0↑ ↓0
센스 이미지
애초에 글로벌이니 뭐니... 뭐 기반이 있는 것도 아니었는데 무리수였던 같네요. 뭐 처음부터 무리수란 얘기가 대부분이었고.
CynicalOrange (2011-05-27 00:52:08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결론은 gsl을 해외에서 열면 되겠구만
아이콘 AppleDoki (2011-05-27 02:27:24 KST)
0↑ ↓0
센스 이미지
GSL 열면서 온겜넷이나 엠겜에서 스타2 리그가 개방된다면
외국인선수들 속속들이 들어올수있을듯...
좀 나중에 일이지만 말이에욤..
아이콘 남자라면맛김 (2011-05-27 03:41:34 KST)
0↑ ↓0
센스 이미지
아니 여기는 무슨 온겜 엠겜이 가져가면 외국인이 잘 들어올거라고 생각하시는분 맞네...팀리퀴서도 보시듯이 결국은 실력이되서 8~4강이상 갈거같은 애들이 오겠죠 외국징징글에 왜이리 반응하는지 이해가 안됨 그리고 19000 달러라 하 혼자독식하나보네 시간겹치는 온라인대회도있을테고 피곤해서 참가못할수도있는데..징징글에 먹이를 주면안됨
아이콘 떠있는구름 (2011-05-27 11:02:47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코도먹는풋맨 // 현재 스2가 해외에서도 인기가 많으니 해외 선수들 데려오는건 기업입장에서 해외 시장 마케팅에 좋을겁니다
아이콘 저그는팀플용 (2011-05-27 13:37:35 KST)
0↑ ↓0
센스 이미지
gsl을 한번 외국나가서 열어보면 될듯.
아이콘 ThisisZero (2011-05-27 17:31:12 KST)
0↑ ↓0
센스 이미지
또 궁금한거 하나. 한국을 제외한 다른쪽 게이머들은 어떤가요? 유럽게이머가 북미리그에 나간다거나 북미게이머가 유럽리그에 나간다거나. 온라인이라면 한국에서 북미/유럽서버 하는것 이상으로 렉이 걸릴 것 같은데...
DCBal (2011-05-27 17:37:10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ㅋㅋ 님들 이상하시네요 계속 이따구로 흘러가면 손해보는건 곰티비
아이콘 아픔제로 (2011-05-27 20:59:14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맞는말이죠 이건 당연한얘기;
한국엔 대회가 gsl 말곤 참가할대회도 없는데 굳이
프로리그가 있다면 모를까
아이콘 아픔제로 (2011-05-27 21:12:28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북미-유럽 핑은 괜찮습니다 워3때부터 그랬구요
한국-유럽이 태평양을 거쳐 미국을 거쳐 유럽에 도달하기 때문에 엄청난 딜레이가 생기죠
그래서 지리적으로도 한국이 이스포츠의 중심이 되기에는 무리가 있음
유로파이터 (2011-05-28 15:29:28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글 말투부터 고쳐..이건무슨 프나틱이 거만하게 말하는것처럼 들리네..오해사겠다 아가야
댓글을 등록하려면 로그인 하셔야 합니다. 로그인 하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롤토체스 TFT - 롤체지지 LoLCHESS.GG
소환사의 협곡부터 칼바람, 우르프까지 - 포로지지 PORO.GG
배그 전적검색은 닥지지(DAK.GG)에서 가능합니다
  • (주)플레이엑스피
  • 대표: 윤석재
  • 사업자등록번호: 406-86-00726

© PlayXP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