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yXP

서브 메뉴

Page. 21 / 24 [내 메뉴에 추가]
글쓰기
작성자 아이콘 삶의지혜
작성일 2010-11-24 11:39:20 KST 조회 3,641
제목
게임내 시간에 대항 생각

스타2를 플레이 할때 옵션에서 경과 시간을 알수있게 해주는 항목 체크하면

게임 플레이 도중에도 시간이 뜹니다.

그런데 요즘 젤 빠른 속도로 플레이 하실겁니다.

근데 시간도 너무 빨리 흘러간다는 겁니다.

아무래도 제생각에는 속도를 보통의 기준으로 시간이 흘러가는듯한데,

게임플레이 시간이라하면, 실제 플레이한 시간이 나와야 한다고봅니다.

게임 속도와 상관없이, 시간은 언제나 같은 속도로 흘러가야한다고봅니다.

지금 상황으로는 보통을 플레이 하건 아주빠름으로 플레이하건

시간이 똑같이 흘러간다는겁니다.

만약 보통과 똑같은 패턴으로 아주빠름을 한다면, 시간 경과 시간이 똑같이 나올겁니다..

그러나 실제 끝나는 시간은 아주빠름이 빨리 끝나야 정상입니다.

 

리플레이 때문에 그렇게 표현 된걸수도 있으나,

좀더 세분화 하여 시간을 표시할 필요가 있다고봅니다.

예를 들어 리플레이에서 볼때는 아주빠름 5분 이라는 표시를 해주는게 좋다고 봅니다.

보통으로 플레이 했다면 보통속도플레이 몇분 이라는 방식으로 리플레이에 표시 되어야 한다고봅니다.

그 해당 리플레이는 그 속도로 플레이 했으니

그 속도의 시간을 기준으로 리플레이를 보통으로 내리면 느려져야 하는게 아닌가 생각합니다.

 

다른 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잘 모르겠지만,

전 게임내에 뜨는 시간이 실제 플레이 시간과 다르다고 보기 때문에,

달라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빌드타임 같은 세분화적인 리플 분석은 없애는게 좋다고 보구요...

리플만 봐도 빌드타임 어느정도 이해 가지게 됩니다.(잘하는 사람들의 경우)

 

블리자드가 패치를 해줄지는 모르겠으나 필요하다고 보는게 제 생각입니다.

지속적인 허위 신고시 신고자가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신고 사유를 입력하십시오:

발도장 찍기
베플 아이콘 2ndwing (2010-11-24 20:58:32 KST)
8↑ ↓0
센스 이미지
저도 처음에는 실시간으로 하는게 더 좋지 않나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문득 이런 시간이 들더군요. 저는 매우 빠름이 실시간의 1.38배인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러면 결국 게임의 약4.1초가 실시간의 3초인거죠.

쉽게 말해 실시간 3초동안 게임시간은 4초를 표시하는 거죠. 여기에는 큰 이점이 있습니다. 바로 게임 시간의 세분화지요. 1분10초에 산란, 1분 11초에 드론, 1분 12초에 가스.. 이런식으로 적는다고 생각했을때 실시간의 3초보다 게임의 3초가 더 세분화되어있는거죠. 빌드 뿐만이 아니라 병력 이동타이밍도 더 세분화 되어 있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제작진은 실시간의 초시계는 너무 느리다고 생각했나봅니다. 그렇다고 12.5초 하고 쓸수는 없는거 아니겠습니까? 직감적이지 않고 한눈에 파악이 되지도 않죠.

즉 게임의 시간은 게임의 타이밍을 재는 게임만의 초시계로 여겨야 한다고 전 생각합니다.
베플 아이콘 R군. (2010-11-24 11:59:02 KST)
7↑ ↓3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실제시간이 표시되야한다면 유닛생산속도와 공격속도 표시를
보통, 빠름, 아주빠름별로 각각 따로 해야겠네요.
심플하기 그지없네요.
아이콘 적당새 (2010-11-24 11:43:58 KST)
1↑ ↓1
센스 이미지
그런데 그게 왜 필요하다고 보시는데요?
아이콘 R군. (2010-11-24 11:59:02 KST)
7↑ ↓3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실제시간이 표시되야한다면 유닛생산속도와 공격속도 표시를
보통, 빠름, 아주빠름별로 각각 따로 해야겠네요.
심플하기 그지없네요.
아이콘 삶의지혜 (2010-11-24 12:07:40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적당새 // 그럼 플레이하면서 볼수있는 시간이 왜 필요하다고 보시는데요?
아이콘 삶의지혜 (2010-11-24 12:15:40 KST)
1↑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R군. // 음 그렇게 보면 따로 표시 되야 한다고 보여지지만,
생산 속도는 생산 속도가 보통으로 부터만 계산 된다고 하면 되는거라고 봅니다.
근데 예를들어 만약 아주빠름으로 플레이하면서 어떤 사람이
초시계로 시간을 제면 5분이 나오는데,
게임 흘러가는 시간은 4분이 나온다는 겁니다(정확한 시간을 말하는것이 아닌 예임)
게임 흘러가는 시간은 따로 원래 시간으로 흘러가야 진짜 플레이 시간이 된다고 봅니다.
아이콘 Kyreli (2010-11-24 12:29:52 KST)
2↑ ↓0
센스 이미지
ㅇㅇ 걍 첨부터 매우빠름에 맞췄으면 편했을텐데
아이콘 벙커러 (2010-11-24 13:37:56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이런분들을 위해서 실제시간표시 이런옵션 하나 생기면 좋겠네요
집정관 (2010-11-24 13:43:30 KST)
2↑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게임속도 보통으로 게임하는 사람이 있습니까? 어차피 모든 레더 게임이 아주 빠름 속도로 돌아가는데, 상관없다고 보네요.
쑥더맨 (2010-11-24 13:50:43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시계를 실제시간으로 바꿔야 한다고 하셨는데, 그 주장에 대한 이유가 없네요. 뭐뭐 해야된다는 말만 가득하고 그걸 수긍하게 해주는 근거가 글에 하나도 없습니다. 게임시간으로 표기되면 불편한 점이라던지, 실제시간으로 표기하면 게임중에 뭐가 편리하다던지... 좀 적어주셨으면 좋겠네요.
아이콘 내가고기라니 (2010-11-24 16:19:03 KST)
0↑ ↓0
센스 이미지
게임중 시간이 실제 시스템 시간이 아니였나요. . 블리자드 개발자들 대단한넘들이네. .게임속도에 시간 다시 계산할려면 시분할계산 해야할텐데 .. 나사 취직해도 되겟네
아이콘 Coldviolet (2010-11-24 17:23:49 KST)
2↑ ↓0
센스 이미지
본문: "게임 속도와 상관없이, 시간은 언제나 같은 속도로 흘러가야한다고봅니다.
지금 상황으로는 보통을 플레이 하건 아주빠름으로 플레이하건 시간이 똑같이 흘러간다는겁니다."
ㄴ ?????

아 그리고 윗분께서도 말씀하셨지만 글에 온통 '제 생각입니다' 지만 왜 그렇게 생각하시는지는 적어놓질 않으셔서 왜 바뀌어야한다고 주장하시는지 이해를 못하겠네요 지금처럼 한게 훨씬 좋아보이는데요... 그리고 리플레이에 '현재는 느림으로 5분 보통으로 3분 매우빠름으로 1분30초인 상황입니다'라는 식으로 속도를 바꿀때마다 변화되게할꺼라면 뭣하러 애초에 현실시간으로 바꾸자는건지요? 엄청 불편해보이는데요? 무슨 인게임 시계가 버그로 안 켜져서 실제 손목시계로 재면서 겜하시는거 아닌가 라는 생각이 들 정도네요;;
아이콘 적당새 (2010-11-24 17:26:38 KST)
0↑ ↓0
센스 이미지
어이없네요..
비꼬는거 아닙니다.

왜 필요하다고 보시나요?
아이콘 매노 (2010-11-24 18:34:45 KST)
0↑ ↓0
센스 이미지
ㅋ 재밌네 ㅋ
아이콘 Xonix (2010-11-24 18:41:43 KST)
2↑ ↓0
센스 이미지
글쓴이의 의도는

스타크래프트2를 플레이하면서 게임속도 '보통'에 필요성을 못느끼고

대부분 [매우빠름]로 플레이하고 있으니 스타2 시간자체도

보통이 아닌 매우빠름을 기준으로 맞춰야한다는 말인듯한데요 ..

이 글에 동의 하긴합니다만.. 지금 보통시간으로 영향이 많이 미친 현재

바꾼다면 혼란이 일어날텐데.. 바뀌고 나면 괜찮을듯 싶네요

실제시간과 같아서 타임어택류에도 나름 괜찮은방법이며

대부분의 사람들은 '보통'이 아닌 '매우빠름' 으로 플레이하니말이죠.
아이콘 rekina (2010-11-24 19:25:21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전 솔직히 게임속도 바꾸는게 왜 있는지도 이해가 안갑니다. 99.9% 이상의 유저가 매우빠름으로 플레이하는 현실에서 매우빠름을 보통 속도로 바꾸고 차라리 초보용으로 느림 속도를 만들어서 느림, 보통 두 가지의 속도로 가는게 어떨지...느림 속도는 지금으로 치자면 보통 속도면 되겟네요.
아이콘 2ndwing (2010-11-24 20:58:32 KST)
8↑ ↓0
센스 이미지
저도 처음에는 실시간으로 하는게 더 좋지 않나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문득 이런 시간이 들더군요. 저는 매우 빠름이 실시간의 1.38배인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러면 결국 게임의 약4.1초가 실시간의 3초인거죠.

쉽게 말해 실시간 3초동안 게임시간은 4초를 표시하는 거죠. 여기에는 큰 이점이 있습니다. 바로 게임 시간의 세분화지요. 1분10초에 산란, 1분 11초에 드론, 1분 12초에 가스.. 이런식으로 적는다고 생각했을때 실시간의 3초보다 게임의 3초가 더 세분화되어있는거죠. 빌드 뿐만이 아니라 병력 이동타이밍도 더 세분화 되어 있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제작진은 실시간의 초시계는 너무 느리다고 생각했나봅니다. 그렇다고 12.5초 하고 쓸수는 없는거 아니겠습니까? 직감적이지 않고 한눈에 파악이 되지도 않죠.

즉 게임의 시간은 게임의 타이밍을 재는 게임만의 초시계로 여겨야 한다고 전 생각합니다.
아이콘 ReadySTAR2 (2010-11-24 21:17:17 KST)
0↑ ↓0
센스 이미지
1.5배 아닌가요 1.38배는 어디서 나온거죵.
아이콘 2ndwing (2010-11-24 22:27:41 KST)
0↑ ↓0
센스 이미지
저도 1.5배인줄 알았는데 위키에서는 1.38배라고 하네요. 제가 재봤는데 게임시간 10초가 실제시간 7초쯤 되더군요. 1.5배보다는 확실히 적은거 같았습니다.
아이콘 악성저징징 (2010-11-29 20:35:05 KST)
1↑ ↓0
센스 이미지
심한 말을 하게 되어 죄송한데 지혜가 짧으신듯 ㅠㅜ
현실 시간과 게임 시간은 따로 돌아갑니다. 게임에서는 시간이 더 빨리 흐릅니다.
게임의 시간이 더 빠르기 때문에 게임 내 시계도 더 빨리 돌아가야 합니다.
게임 내 시계가 게임 내 시간을 반영하지 않고 그냥 현실 시간대로 돌아간다면
대체 무슨 의미가 있을까요?
언제나 시작하자마자 누른 일꾼이 나오는 시간은 00:17여야 합니다.
게임 내에서 그런 정보를 보라고 있는 시계지, 게임을 30분 했으니
이제 쉬어볼까? 같은 생각 하라고 있는 스톱워치가 아닙니다.
댓글을 등록하려면 로그인 하셔야 합니다. 로그인 하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롤토체스 TFT - 롤체지지 LoLCHESS.GG
소환사의 협곡부터 칼바람, 우르프까지 - 포로지지 PORO.GG
배그 전적검색은 닥지지(DAK.GG)에서 가능합니다
  • (주)플레이엑스피
  • 대표: 윤석재
  • 사업자등록번호: 406-86-00726

© PlayXP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