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yXP

서브 메뉴

Page. 21 / 24 [내 메뉴에 추가]
글쓰기
작성자 아이콘 짱세프라임.443
작성일 2010-11-14 12:28:36 KST 조회 3,050
제목
공식전의 정의 Ver2.0 이 나왔습니다. 토론하고 싶습니다.

버전업 노트

 

1.상금/상품 등의 1위에 대한 어드벤티지가 존재할것 <== 삭제되었습니다.

이유는 상금이 백원이라도 존재해야 한다는 것이

반드시 공식전의 조건이 되어야 할 필요는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올림픽의 경우도 있구요.

상금이 없더라도 공식전의 지위를 획득할 만한 대회는 공식전으로 취급하기 위해

상금 조건은 삭제합니다.

 

2. 공식전을 A매치, B매치, C매치 등으로 등급구분을 하겠습니다.

 

기존의 공식전 조건에서 상금조건만을 제외한 경우를 A매치로 둡니다.

별칭으로는 월드오픈매치로 분류하겠습니다.

즉 A매치는 월드오픈매치이며 전세계 모든 선수가 완전히 동등한 조건으로 경쟁하는 매치입니다.

현재로서는 GSL만이 포함됩니다.

 

A매치에서, 국가별 시드만을 허용한 경우를 B매치로 둡니다.

별칭으로는 네셔널오픈매치로 분류합니다.

즉 B매치는 네셔널오픈매치이며 국가별로 티켓수가 지정되며 해당 국가내의 모든 선수들은

완전히 동등한 조건으로 경쟁하게 됩니다.

이는 특정국가에 소속되었다는 이유로 불이익을 받는 경우가 생길 수 있는 단점이 있지만,

(특히 한국의 플레이어들은 A매치보다 보다 불이익을 받게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충분히 공식전으로 인정할 만한 그외의 모든 조건을 충족하고, 또 국가별 시드라는 것이 존재하는 것이

비공식전으로 분류될 수 는 없다고 판단됩니다.

현재로서는 블리즈컨토너먼트(김원기vs임요환 특별전 제외) 만이 포함됩니다.

 

이하 C매치 이하의 조건도 의견을 받습니다.

 

 

 

 

월드오픈매치(=A매치) 충족 조건

 

1. 오프라인으로 진행할것(오프라인 원칙)

- 이것은 모든 종류의 논란(대리게임 부정행위등)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고,

오프라인으로 진행한다는 자체가 매우 큰 지위획득효과를 가진다고 생각합니다.

오프대회라면 참여하기가 매우 힘듬에도, 

선수들이 참가했다면 이것은 다분히 공식전으로서의 지위를 획득한 대회일 확률이 높지요.

 

2. 특정 집단의 내부전이 아닐것(오픈매치 원칙)

- 이것은 이를테면 여성스타대회, 특정클랜내부 스타대회 등을 공식전에서 빼버리는 결과를 가져옵니다.

이러한 이유는 이러한 불합리한 형태의 내부전이 공식전적에 포함되게 되면,

일종의 거대한 부정행위가 가능하기 때문이지요.

반드시 오픈리그여야 한다는 것은 아니지만, 

전 세계인 누구나 실력이 있으면 참여할 수 있는 형태의 대회가 되어야 한다고 판단했습니다.

이때 반론이 있을 수 있는 가장 큰 사태는 국가제한입니다.

이를테면 한국인만 참가하는 대회 혹은 유럽대회의 경우 공식전이 아닌가 라는 생각이 들게 되지요.

하지만 이 경우에도 월드오픈매치로 분류하기는 힘들고,

A매치의 등급을 부여할 수는 없다고 판단됩니다.

또한 프로게이머만 참가 가능하다는 식의 경우, 이 원칙에 적용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입상권의 실력과 의지가 있으면 참가에 제한을 받지 않기 때문이지요.

 

 

3. 경기결과 및 내용이 공개될것(공개원칙)

- 생방 녹방 리플방송의 여부를 떠나 경기의 결과 및 내용(둘다 뜻합니다)을 공개하지 않는다면

이것은 공식전의 지위를 획득하기 힘들다고 판단합니다.

비공개 대회라면 이것이 공식전이 될 수는 없겠지요.

 

4. 불합리한 룰 규정이 없을것(공정매치원칙)

- 이를테면 2대1 혹은 체력 등에서의 핸디캡 매치나 타임어택제(시간제한), 기타등등

정상적인 경기에서 적용되지 않는 다분히 이벤트성 경기룰을 적용한 경기는 

공식전에 포함할 수 없다고 생각됩니다.

더이상 최강자를 선별하는 기능을 하지 못하는 대회는 이벤트전일 뿐 공식전이 아니죠.

 

5. 불합리한 시드배치가 없을것(공정시드원칙)

- 이를테면 블리즈컨의 김원기vs임요환 특별전 처럼, 아무런 명분과 정당성이 없이

경기선수가 선별될 경우 이는 공식전의 지위를 획득하기 힘들다고 판단됩니다.

이때, 국가별 시드라던지 하는 논란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국가별 시드의 경우는 그 위상이 반드시 월드오픈매치에 비해 떨어질 수 밖에 없고,

이는 A매치를 충족하지 못한다고 보입니다.

현재 이경우는 B매치로 격하 하였습니다.

 

 

네셔널오픈매치(=B매치)의 충족조건

 

월드오픈매치와 동일하나, 5번 조건에서 국가별 시드 배정의 경우만 예외허용

1. 오프라인으로 진행할것(오프라인원칙)

2. 특정 집단의 내부전이 아닐것(오픈매치원칙)

3. 경기결과 및 내용이 공개될것(공개원칙)

4. 불합리한 룰 규정이 없을것(공정매치원칙)

5. 불합리한 시드배치가 없을것(공정시드원칙)(국가별 시드부여시 예외 허용)

 

 

토론해보고 싶습니다.

어느정도 정립되면 스타2DB에 반영하겠습니다.

 

 

지속적인 허위 신고시 신고자가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신고 사유를 입력하십시오:

발도장 찍기
아이콘 천제누구 (2010-11-14 12:29:32 KST)
2↑ ↓1
센스 이미지
선리플 후감상
lutedia (2010-11-14 12:52:35 KST)
4↑ ↓4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공식전을 정하는게 필요할까요?

스1에서는 한국이스포츠협회나 케스파가 공식전의 기준을 정했다면

스2는 그라텍인가? 그회사가 스타2대회 개최에 대한 전권을 블리자드로부터 받았으므로

그 회사가 정할 문제인것 같습니다.
shszzang88 (2010-11-14 14:00:30 KST)
2↑ ↓2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이런거 왜 정하는거죠?
아이콘 crowley (2010-11-14 14:09:16 KST)
1↑ ↓0
센스 이미지
룰만 보고 할라니까 잘 이해가 안되는데
작성자분의 기준에 따라 A B C에 각각 어느 대회가 수록되어 있는지가 알고싶네요
아이콘 늑대와춤을. (2010-11-14 14:14:21 KST)
1↑ ↓0
센스 이미지
이런 토론을 하는것도 의미가 있죠.
곰티비 뿐만 아니라 개인 자격으로도 이런 데이타를 집계하는 기준을 정하는 것을 여러사람들의 의견을 물어서 하는것인데요. 최소한 playxp 내에서 혹은 그 이상에서도 유의미한 일이 될것 같은데요.
아이콘 늑대와춤을. (2010-11-14 14:30:14 KST)
2↑ ↓1
센스 이미지
그리고 의견을 덧붙이자면,
A매치 월드 오픈매치, B매치는 내셔널오픈매치가 아니라 인터내셔널매치로 하는게 나을것 같네요.
C매치는 내셜널매치? 사실상 유럽, 미국, 한국 등에서만 치뤄지는 자국대회

A매치 충족조건 중에서는 2번 오픈매치원칙이면 특정 집단의 내부전이 아닐것 보다는 참가자겨의 제한이 없을것이나 원하면 누구나 참여가능할 것으로 바꾸는게 나을것 같네요.
아이콘 2ndwing (2010-11-14 16:02:45 KST)
1↑ ↓0
센스 이미지
일회성 대회가 아니라 지속성을 가졌다면 인정해도 된다고 생각됩니다.
댓글을 등록하려면 로그인 하셔야 합니다. 로그인 하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롤토체스 TFT - 롤체지지 LoLCHESS.GG
소환사의 협곡부터 칼바람, 우르프까지 - 포로지지 PORO.GG
배그 전적검색은 닥지지(DAK.GG)에서 가능합니다
  • (주)플레이엑스피
  • 대표: 윤석재
  • 사업자등록번호: 406-86-00726

© PlayXP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