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yXP

서브 메뉴

Page. 1 / 492 [내 메뉴에 추가]
작성자 아이콘 Nios
작성일 2010-07-20 16:16:10 KST 조회 11,323
제목
스타크래프트2, 일본어 버전은 출시 안한다

7월 27일부터 실시간 전략 게임 스타크래프트2가 15개 국가 이상에서 판매가 시작된다.

 

Game's Developer에 따르면, 스타크래프트2는 미국, 캐나다, 한국, 호주, 뉴질랜드, 러시아, 멕시코,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태국, 필리핀, 유럽 각 국가 그리고 대만, 홍콩, 마카오에서 발매된다.

 

일본에서는 스타크래프트2가 발매되지 않는다. Kotaku.com에 따르면 블리자드는 일본에는 일본 서버 환경이 구축되거나 일본어로 현지화된 버전으로 "발매 계획 없음"이라고 확인시켜줬다고 밝혔다. 일본 유저가 스타크래프트2를 즐기기 위해서는 북미 버전을 구매하여 북미 서버에 접속해야한다는 말도 덧붙였다. 혹은 다른 국가의 패키지를 구매하여 해당 지역 서버에서 플레이가 가능하다.

 

블리자드는 이번에 발매되는 국가 이외의 언어로 현지화할 계획에 대해서는 별도로 언급 하지 않았다.

 

원문: http://kotaku.com/5590298/where-isnt-starcraft-ii-launching

 

(c) PlayXP

지속적인 허위 신고시 신고자가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신고 사유를 입력하십시오:

발도장 찍기
  |   아이콘 죽은사람   |     |   아이콘 김욘세   |   쩌는테란   |   아이콘 Chasingcars
베플 RhapsodyKing (2010-07-20 16:17:15 KST)
17↑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파일포켓 이미지
일본어를 삭제하시겠습니까? Y / Y
RhapsodyKing (2010-07-20 16:17:15 KST)
17↑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파일포켓 이미지
일본어를 삭제하시겠습니까? Y / Y
아이콘 얼본좌 (2010-07-20 16:17:50 KST)
0↑ ↓0
센스 이미지
블쟈의 불모지 ㅋ
아이콘 [부릉여왕] (2010-07-20 16:18:00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스1 일본어 더빙 참~~~. 돋던데
아이콘 SupremeJ (2010-07-20 16:18:29 KST)
1↑ ↓0
센스 이미지
스1 일본어더빙 ㅋㅋ신선했는데 2는없나보네
스칸듐 (2010-07-20 16:19:25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블리자드가 유일에 실패한 나라중 하나 오덕국 일본
스칸듐 (2010-07-20 16:20:01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솔까 저 같아도 이렇게 실패하면 발매 안하고 말지 ㅋㅋ
아이콘 SupremeJ (2010-07-20 16:23:37 KST)
0↑ ↓0
센스 이미지
스1 일본어더빙 ㅋㅋ

http://blog.naver.com/zerghary?Redirect=Log&logNo=120050092425

들어보세용
아이콘 Garona (2010-07-20 16:30:23 KST)
0↑ ↓0
센스 이미지
대만, 홍콩, 마카오에서 발매하기 때문에 사실상 이 3개가 중국을 대체한다고 볼 수 있죠
지리적으로 가까운데다 북경어/광동어가 공용어고
사실상 대만, 홍콩, 마카오는 중국 속국이니깐

중국에는 아마.. 심의때문에 정발이 늦어지는듯 ㅋㅋ
수련생 (2010-07-20 16:49:41 KST)
0↑ ↓0
센스 이미지
일본은 워낙 자국 패키지 강국이다 보니...
블리자드 따윈 안중에도 없는 대단한 나라......
Ride (2010-07-20 16:50:41 KST)
0↑ ↓0
센스 이미지
한마디로 섬나라는 즐이군
아이콘 Afurodi (2010-07-20 16:55:16 KST)
0↑ ↓0
센스 이미지
콘솔이 대세인 나라다보니...
그동안답답 (2010-07-20 17:11:26 KST) - 166.104.xxx.47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거참 드디어 블자가 회사 창립 이후 처음으로 시원스러운 말 한마디 해주네...
아이콘 Kaerun.prg (2010-07-20 17:30:23 KST)
0↑ ↓0
센스 이미지
일본애들 콘솔만 해서 그런지 그래픽 카드 개념이 없어서 메인보드 그래픽 카드 가지고 게임 느리다고 징징댑니다 -ㅅ-
[MD]카파 (2010-07-20 17:34:31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스타1때 일본판 만들어줬는데 정작 일본인은 사지도 않음요
아이콘 H.테일러 (2010-07-20 17:55:52 KST)
0↑ ↓0
센스 이미지
음..의외로 리얼SF계열에서는 성우진이약한건가? 아니면 선택이안좋은건가..
정말의외네... ㄱ-..
지지선포하나여 (2010-07-20 17:58:51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혹시 옛날 일본이 진주만 습격했다고???
뭐 잘됬지 ㅋㅋ
HeavyRaiN (2010-07-20 18:33:23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솔직히 일본놈들은 신경 안쓸껄
아이콘 XP_Meta-그라돈 (2010-07-20 18:59:59 KST)
0↑ ↓0
센스 이미지
스1이 그런 오류만 없었어도 조금은 하는 사람이 있긴 했을텐데..
아이콘 humanac (2010-07-20 19:56:15 KST)
0↑ ↓0
센스 이미지
일본 신경 안 쓰는 이유는 일본은 혼자 즐기는 게임을 주로 하고 온라인 게임은 잘 안 하려 하고 PC시장보다는 콘솔시장이 더 발달했고 그 PC시장 마저도 태반이 19금 미연시나 만들고 있으니.
아이콘 hjojoko (2010-07-20 20:01:54 KST)
0↑ ↓0
센스 이미지
원래 일본의 컴퓨터 관련 시장은 굉장히 취약한 편입니다. 일본은 사실 콘솔이 거의 지배적인 시장
그리고 과거에 나왔던 스타1의 경우도 블리자드가 직접 유통한게 아니라 외주에서 사서 한걸로 알고있습니다. 사실 거의 대부분의 컴퓨터 게임회사는 원래 일본시장을 생각하지 않는 상황.
아이콘 k2il (2010-07-20 20:04:40 KST)
2↑ ↓0
센스 이미지
많이 아쉽네 . 일본년놈들 발라주고 싶은데
아이콘 Kealize (2010-07-20 20:20:40 KST)
0↑ ↓0
센스 이미지
옛날 언젠가 누군가가 스타2 싱글플레이의 RPG적 요소가 일본 플레이어들을 배려해서 만들었다던데 ㅋㅋ
ThreeO (2010-07-20 20:32:05 KST)
1↑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스1 일본어 정발 실패가.. 우리나라의 비정상적인 성공은 모뎀을 떼어나고 피씨방 + ADSL보급이 강력했고 그때 일본은 모뎀을 쓰던상황이었죵.. 한국과달리 풀더빙에 풀번역으로 로컬라이징을했는데 그나마 번역이 매우 안좋았었고 패키지를 사면 그안에 들어있는 구성품같은걸 일본사람들 되게 따지는데 요상한 번역의 설정집메뉴얼 하나 덜렁 들어있었으니 캐망ㅋ 듣는 소문으론 광고같은거도 빈약하게 해서 입소문도 안나고... 확장팩은 발매도 안되구 ㅂㅂ2..
ThreeO (2010-07-20 20:33:46 KST)
1↑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디아2는 제법 팔렸다는데 같은 RTS인 워크3는 우리나라처럼 언어번역만 해서 발매가 되었는데 확장팩은 역시나 영문판만 발매되었죠.. 그리고 스타2는 발매대상국에도 적용안되는 안습;; 콘솔시장같은거나 파이널판타지, 한국온라인겜들보면 게이머들 숫자는 많은거같은데 말이죠 ㅋ
아이콘 TaMaki (2010-07-20 21:05:17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일본 온라인게임 접속자 숫자보면 많다고 느껴져서... '아.. 일본도 컴터로 게임 많이 하나보다.' 싶지만.. 실상은 인구가 우리나라보다 많은데.. 인구대비 유저숫자는 적은 편이고.. 콘솔이 대세라... PC류 게임은 사실 극소수 인기게임이나 야겜이라 불리우는 쪽에 치우쳐져 있는 상황이죠..;;

반대로 콘솔부문은 대박중의 대박 시장이니까요... 문화 차이라고 할 수 있겠지만.. 섬나라 쪽바리들은.. 이상하게 혼자 방에서 하는 게임을 참 좋아하는 편 -_-a;;

그리고 스타1은 컴터 문제도 있지만.. 당시 일본은 10중 8,9는 모뎀사용 인터넷이라.. 베틀넷은 힘들었죠..스타1 발매 초기 당시에는 우리나라도 모뎀 사용자가 대부분인건 마찬가지였지만... 세계에서 가장 빠른 ADSL 보급 속도를 가졌던 게 당시 우리나라 상황이어서.. (심지어 개발은 미국이나, 유럽쪽에서 먼저 했는데 가정 보급은 몇 배는 더 빨랐죠 -_-a;;; 2002 월드컵 당시 외국선수들이나 해외 기자들이 국내 인터넷 빠른 것 보고 놀라했습니다..)

여하튼 빠른 광속 인터넷 보급과 PC방 생성에 가중화 되어... 스타가 말도 안되는 성공을 거뒀죠...
물론 스타1이 떠서 인터넷 보급과 PC방 생성이 되었다는 분석도 있지만.. 시기 차이가 거의 없으니까요 -_-a 이건... 뭐.. 판단하기 나름입니다..

(우리와 비슷한 전투의 종족!? 중국은 왜 스타1이 못 떴나면... 당시 중국은 게임 시장이란 거 자체가 없었습니다. 인터넷은 커녕 컴퓨터 보급도 안됐을 시절이니까요..;; 현재는 세계최고의 시장이라고 하지만 말이죠..)


여하튼... 일본 미발매는 어찌보면 당연한 상황..
아이콘 한줄두줄 (2010-07-20 22:18:02 KST)
1↑ ↓0
센스 이미지
아 -_- 일본 더빙 돋네 ;;;;;;.................................. 딴게임을 만들었네 ㅋㅋㅋㅋㅋㅋㅋㅋ
enste (2010-07-20 22:21:45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익 전순이 야마토포 어쩔.. 일본은 처다도 안봐..
Ride (2010-07-20 22:30:01 KST)
0↑ ↓0
센스 이미지
스타1 일본판은 불린자두가 직접 현지화를 한 것이 아니라 일본 배급업체쪽에서 했다는 이야기가
아이콘 버프받은곰 (2010-07-20 22:51:03 KST)
0↑ ↓0
센스 이미지
블레이드마스터는 불쌍함여
아이콘 미쁠 (2010-07-20 23:03:15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블리자드가 외주하면 주로 존망인듯..
일본은 꽤 좋아하는데도 성과가 없으니 안탑깝겠네 블리자드 ㅋ
아이콘 Kealize (2010-07-20 23:03:46 KST)
0↑ ↓0
센스 이미지
일본의 콘솔 시장 발달은 오래 전에 책을 읽어보니까 문화 특성이라고 하더군요 ㅎㅎ
아이콘 hjojoko (2010-07-21 01:29:10 KST)
0↑ ↓0
센스 이미지
사실 대부분의 외주가 블리자드가 고용한게 아니라. 다른곳에서 데모판같이 만들어서 블리자드에게 유통허락을 받으러 온다죠. 워크래프트 어드밴처도 블리자드에서 아예 생각도 안하던걸 외주에서 데모형으로 만들어서 판매 허가 받으러 왔다가 퇴자 크리.
스칸듐 (2010-07-21 02:45:51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일본에서 디아2가 제법 팔렸다고요 ?? 통계자료는 500장뿐이 안팔림 ㅡㅡ
500만장도 아니고 500장임
아이콘 지코 (2010-07-21 10:10:45 KST)
0↑ ↓0
센스 이미지
캐리건을 미쿠처럼 모에화하면 성공가능성이 있을 듯...
hjojoko (2010-07-21 13:58:25 KST) - 117.123.xxx.39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아! 참고로 실제 일본에서 가장 극찬받고 관심을 끌었던 블리자드 게임은 디아블로1편입니다. 이건 일본쪽 비공식 게임관련 잡지에서(일본은 인쇄문화가 많이 발달해서 개인이나 비영리단체에서 만든 동인잡지등이 굉장히 많음) 초반에는 디아블로가 RPG의 개념을 타락시킨다고 공격적으로 봤다가 "이건 우리들의 패배다"라며 극찬을 했죠.

.........그래도 역시 판매량은 저조했음. 원래 일본의 컴퓨터 게임시장은 콘솔에비하면 개미수준
ddd (2010-07-21 14:26:32 KST) - 218.153.xxx.94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ㅋㅋㅋ 스타2 더빙돋네요
댓글을 등록하려면 로그인 하셔야 합니다. 로그인 하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롤토체스 TFT - 롤체지지 LoLCHESS.GG
소환사의 협곡부터 칼바람, 우르프까지 - 포로지지 PORO.GG
배그 전적검색은 닥지지(DAK.GG)에서 가능합니다
  • (주)플레이엑스피
  • 대표: 윤석재
  • 사업자등록번호: 406-86-00726

© PlayXP Inc. All Rights Reserved.